사회 사회일반

숲 가꾸니 산림 공익가치 국민 1인당 연간 428만원 혜택

산림청, 11월 한 달 ‘숲가꾸기 기간’ 운영

전국 153개 기관 4,000여명 참여하는 체험행사 개최

이미라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이 11알 숲가꾸기 사업 계획 등에 대해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이미라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이 11알 숲가꾸기 사업 계획 등에 대해 기자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



숲가꾸기가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가치를 증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의 공익가치는 연간 221조원에 이르러 국민 한 사람에게 428만원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분석됐다.

산림청은 11월을 ‘숲가꾸기 기간’으로 정해 숲가꾸기 사업을 적극 추진, 산림의 공익가치 증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숲가꾸기는 어린나무를 심어 크게 자랄 수 있도록 나무심기 후 나이와 상태에 따라 풀베기, 덩굴제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등의 작업을 통해 나무의 성장 환경을 만들어 주는 사업으로 나무를 심고 가꾸고 수확하는 산림자원 순환체계 및 산림경영의 핵심적인 정책이다.

예산액은 매년 평균 2,200억원 내외로 산림청 전체 예산의 10%를 상회하는 중요한 업무이다.

산림청은 산림의 경제·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해 산림정책의 방향을 ‘심는 정책’에서 ‘가꾸는 정책’으로 전환하고 1998년부터 현재까지 410만ha의 숲을 가꾸었다.

산림청은 이 같은 노력의 결과 ha당 임목축적이 1998년 이전보다 약 3배 증가했고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통계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및 세계 주요 20개국(G20)을 대상으로 한 산림경영 성과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최근 25년간(1990∼2015) 임목축적 증가율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때 대규모 일자리 창출로 경제회복에 기여했고 현재 연간 1만1,000명의 임업기능인 및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아울러 산림이 주는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증진시켜 국민 삶의 질을 개선했고 산림재해 방지, 맑은 물, 아름다운 경관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미라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우리나라는 국민적인 나무심기 노력을 통해 황폐했던 산을 푸른 숲으로 바꾸었지만 과거 속성수 위주의 나무심기로 경제성이 부족한 실정으로 경제림 전환을 위해 벌채 및 숲가꾸기 확대가 필요하다”며 “과거 산림녹화를 위해 식재한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등의 녹화수종 및 불량림에 대해서는 벌채하고 낙엽송과 같은 경제성이 높은 수종으로 갱신 후 생육 단계별로 필요한 숲가꾸기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향후 국민들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해 산림의 기능이 최적발휘 될 수 있도록 숲가꾸기를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국민안전 강화를 위해 산불예방 숲가꾸기를 추진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디지털 산림경영 기반도 마련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이러한 숲가꾸기 정책의 필요성 등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11월 한 달을 ‘숲가꾸기 기간’으로 정해 체험행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1977년 육림의 날을 시작으로 1995년부터 숲을 가꾸기에 적기인 가을철 11월 한달을 숲가꾸기 기간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153개 기관에서 4,000여명이 참여하는 행사를 실시하며 코로나 예방을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간소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숲은 나무를 심는 것 이상으로 건강하게 가꾸는 것이 중요하다”며 “숲가꾸기를 통해 잘 자란 나무가 앞으로 우리나라 산림을 더욱더 푸르고 건강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