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바이든 인수위 곳곳에 '오바마 정권 관료들'

교통·환경 등 다양한 분야 투입

재정·무역 등엔 진보 색채 뚜렷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인수위원회에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일했던 인사들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환경보호청(EPA)을 이끌 패트리스 심스 변호사는 오바마 정부 시절 법무부 환경국에서 법무보좌관을 지냈다. 심스 변호사가 활동했던 비영리 환경단체 ‘어스저스티스(Earthjustice)’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100건이 넘는 소송을 제기했다. EPA 법률고문이었던 조 고프먼 변호사도 인수위에 합류했다.

오바마 행정부의 교통 담당 관료들도 인수위에 투입됐다. 로이터는 필립 워싱턴 로스앤젤레스 광역교통청 대표가 이끄는 교통부에 폴리 트로튼버그, 테레스 맥밀런 등 오바마 행정부 당시 관료들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내무부 역시 오바마 행정부에서 인디언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케빈 워시번 전 내무부 차관보가 이끌고 있다. 샐리 주얼 전 내무장관, 엘리자베스 클라인 전 내무부 부차관보 등 오바마 행정부 출신 관료들도 내무부에 합류했다.


재정·무역·은행규제 분야에는 진보 성향의 전문가들을 전진 배치했다. 재무 분야의 흑인 변호사 출신 메사 배러더런 교수는 저소득층의 금융 이용 제고를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재무 분야에 포함된 시몬 존슨 MIT 교수도 정부가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중소도시의 연구기관에 기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관련기사



무역 분야에서는 미국 최대 노동조합인 산별노조총연맹(AFL-CIO) 출신의 줄리 그린과 셀레스트 드레이크 등이 포함됐다. 은행규제에는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게리 겐슬러 전 의장이 명단에 올랐다. 겐슬러 전 의장은 지난 2009년 금융위기 당시 주요 개혁정책을 입안했던 인물이다.

한편 대선 패배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을 떠난 후 현직 시절에 입수한 기밀을 유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전직 당국자와 전문가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이 돼서도 고급기밀을 선택적으로 누설할 우려가 크며 이것이 조 바이든 행정부에 특이한 국가안보적 딜레마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앙정보국(CIA)에서 일했던 데이비드 프리어스는 WP에 “불만이 있고 불만족하고 억울한 사람 누구나 전직이든 현직이든 기밀을 공개할 위험이 있다”면서 “트럼프는 이에 딱 들어맞는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