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게임학회 "中 판호 문제, 쇠 달구어졌을 때 해결해야"

현 정부서 민관 합동 노력 필요성 강조

"게임산업계도 방관 말고 적극 나서야"

문재인(오른쪽)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청와대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오른쪽)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청와대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게임학회가 중국의 게임 ‘판호(版號·유통허가증)’ 문제에 대해 정부와 민간이 공조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내년에는 2022년 대선을 앞두고 판호 문제가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어 국산 게임에 대한 판호가 4년 만에 발급된 시점에서 시의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지난 2일 중국 국가신문출판서(옛 광전총국)는 총 42개 외산 게임에 대한 외자판호를 발급했는데 이중 국내 게임사 컴투스(078340)의 ‘서머너즈워: 천공의 아레나’가 포함됐다. 한국 게임에 대한 판호가 정식으로 발급된 것은 중국이 지난 2017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경제적 보복 조치를 시행한 이후 처음이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지난달 방한한 지 일주일 만에 이뤄진 조치라 중국의 정치·외교적 제스처라는 해석이 나왔다.


한국게임학회(학회장 위정현)는 7일 이에 대해 “이번 판호 발급은 전례 없는 민간과 정부의 협력과 공동노력에 의해 이룩된 성과”라고 평가했다. 학회 측은 “문화체육관광부는 박양우 장관 취임 이래, 외교부는 2019년 말 이후 판호 문제에 대해 무관심에서 적극적인 해결 노력으로 태도가 극적으로 변화했다”며 “이런 정부의 변화는 사드 사태 이후 판호 문제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태도 변화로 정부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회 측은 “판호 발급은 시작됐지만 현실은 여전히 냉혹하다”고 지적했다. “냉정하게 보면 실질적으로 판호에 대한 규제가 철폐된 것이 아니”라며 “이번 중국 판호 발급 숫자를 보면 총 42개중 한국은 단 2개 에 지나지 않은 반면 일본 13개, 유럽 12개, 미국 8개 등으로 한국은 극소수”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중국 게임의 진입에 아무런 장애가 없지만 한국 게임의 중국 진입은 판호로 막혀 있다는 점을 국내외에 강력하게 어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회 측은 내년 한국이 대선정국에 들어서면서 판호나 게임, IT산업에 대한 관심이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회 측은 “쇠는 달구어졌을 때 두들겨야 한다. 지금 정부가 경각심을 갖고 한층 더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게임산업계 역시 판호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학회 측은 “자신의 문제이자 최대의 수혜자인 게임산업계가 방관하고 다른 사람의 손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며 “개별회사가 부담스럽다면 개별 로비가 아니라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