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금융정책

코로나 금융지원책에 부실징후 중소기업 3년 만에 감소

금감원, 정기신용위험평가 결과 발표

부실징후기업, 전년보다 준 157개사

채권은행의 관리 통한 구조조정 추진 필요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유동성 공급 정책으로 부실징후기업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생산성이 낮은 좀비 기업이 유동성을 등에 업고 자연스러운 퇴출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한계기업을 선별해 구조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2020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157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53개사 감소한 수준이다. 세부적으로 C등급을 받은 회사는 66개사로 전년 대비 7개사 증가했다. D등급을 받은 기업은 91개사로 같은 기간 60개사 감소했다. 대기업은 4개사로 지난해보다 5개사 줄었다. 중소기업은 153개사로 지난해보다 48개사 감소했다. 2017년 이후 매년 부실징후기업이 증가해오던 중소기업 분야에서 3년 만에 감소 추세로 역전된 것이다.

업종별로는 부실징후기업에 금속가공(17개사), 도매상품중개(13개사), 부동산(13개사), 고무플라스틱(12개사), 기계장비(12개사), 자동차(12개사) 순으로 기록됐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로 신규 대출 공급, 만기 연장, 이자상환 유예 등 유동성을 지원한 데 따라 연체율이 하락하고 회생신청기업이 준 데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회생 신청한 기업은 809개로 지난해(920개)보다 111개 줄었다.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시중은행에서 돈을 쉽게 빌릴 수 있게 되면서 생산성이 낮은 기업들이 퇴출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독일, 영국, 프랑스, 호주 등 선진국에서도 같은 이유로 올해 상반기 부도기업 수가 최근 5년 중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2조3,000억원이다. 이 중 은행권이 1조8,000억원으로 대부분(78,3%)을 차지하고 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시 은행권에서 추가로 적립해야 할 대손충당금은 약 2,355억원으로 추정된다. 국내 은행의 BIS 비율을 0.01%포인트 떨어뜨리는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조기 경영 정상화가 이뤄지도록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측은 “부실징후기업 중 워크아웃을 신청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 채권은행이 사후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것”이라며 “일시적 경영 위기 기업에 대해 채권은행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