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다시 뛴 서울 아파트값…역대급 공급대책 안정? 역효과?

부동산114 주간아파트가격동향

이번주 서울 아파트 0.15% 상승하며 오름폭 확대

경기·인천에서도 GTX 예정지 위주로 가격 상승세

文, '시장 예측 뛰어넘는 공급대책' 예고한 가운데

'패닉 바잉' 완화-개발호재 기대감 양립하며 혼조세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연합뉴스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다시 상승 폭을 확대했다. 공공개발 및 보궐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이 내놓는 공약들을 시장에서는 호재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여기에 GTX 예정지를 중심으로 경기·인천 및 신도시들의 아파트 가격도 오름세가 가팔라지는 모습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5% 올라 오름폭이 커졌다. 재건축 변동률 또한 지난해 12월말(0.29%) 이후 가장 높은 0.28%를 기록했다. 이밖에 경기·인천이 0.18%, 신도시가 0.15% 올랐다. 서울에서는 전셋값 상승에 불안해진 수요층이 매매로 갈아타는 모습이 나타났다. 비교적 가격 부담이 덜한 관악·노원·도봉 등의 지역이 상승을 이끌었다. △관악(0.33%) △광진(0.29%) △노원(0.28%) △도봉(0.28%) △강동(0.25%) △성북(0.23%) △중구(0.22%) △구로(0.20%) 순으로 올랐다.

관련기사



신도시는 △일산(0.35%) △평촌(0.25%) △위례(0.23%) △판교(0.16%) △산본(0.15%) △중동(0.14%) △파주운정(0.13%) △분당(0.12%) 순으로 올랐다. 경기·인천은 GTX(광역급행철도)의 수혜가 예상되는 지역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고양(0.30%) △의왕(0.30%) △의정부(0.29%) △파주(0.28%) △용인(0.27%) △남양주(0.26%) △수원(0.22%) △화성(0.19%) 순으로 올랐다.

서울 전세시장 역시 비교적 가격이 낮은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을 중심으로 실수요 유입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지역별로는 △관악(0.36%) △구로(0.35%) △금천(0.34%) △강남(0.30%) △마포(0.28%) 순으로 올랐다. 신도시는 △위례(0.21%) △일산(0.18%) △분당(0.17%) 순으로 올랐다. 경기·인천은 △의정부(0.27%) △용인(0.23%) △고양(0.20%) △광명(0.20%) △남양주(0.19%) △하남(0.16%) △양주(0.16%) 순으로 올랐다.

한편 설 전에 정부가 ‘시장의 예측을 웃도는 공급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아파트 시장은 혼조세를 띠는 모습이다. 실수요층의 내 집 마련 불안 심리를 다독일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과거 뉴타운처럼 개발 호재로 받아들여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함께 나오고 있다.



/권혁준 기자 awlkwon@sedaily.com


권혁준 기자 awlkwo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