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바이든·네타냐후 첫 통화…"분위기 훈훈했다"

바이든, 취임 후 한달만에 1시간 대화

통화 늦어져 '이스라엘 패싱설' 돌기도

2016년 3월 부통령 자격으로 이스라엘을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AFP연합뉴스2016년 3월 부통령 자격으로 이스라엘을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첫 통화를 했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한 달 만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총리실은 이날 성명을 통해 "한 시간가량 이어진 대화는 매우 우호적이고 훈훈했다"며 “중동 지역 아랍과 무슬림 국가들 및 이란과 이스라엘의 새로운 관계 등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과 논의했다”고 전했다. 또한 “두 정상이 평화협정의 진전, 이란의 위협, 지역적 도전에 대해 대화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오랜 개인적인 유대관계를 확인하고 이스라엘과 미국의 공고한 동맹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데 함께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날 바이든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초기 전 세계 정상과 전화 접촉을 하면서도 중동의 우방인 이스라엘 총리에게 전화를 걸지 않아 ‘이스라엘 패싱설’이 돌면서, 현지에서는 그 배경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왔다.일각에선 친(親)트럼프 입장을 견지했던 네타냐후 총리를 바이든 대통령이 꺼려하기 때문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특히 네타냐후 총리는 바이든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파기했던 이란과 핵 합의 복원을 천명한데다,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정착촌 건설까지 반대하지 않을까 조바심을 내왔다.

하지만 최근 백악관은 이런 추측들을 부인하며 중동 지역 정상 가운데 가장 먼저 네타냐후 총리와 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이스라엘이 미국의 동맹이자 중요한 전략적 안보 관계를 가진 국가라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중동 지역에서 첫 통화하는 국가가 이스라엘이 될 것이라고 진화하기도 했다. 네타냐후 총리 또한 이란 문제에 관해서 양국이 견해차가 있지만 두 정상이 강력한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고 강조해 왔다.

/김경림 기자 forest03@sedaily.com


김경림 기자 forest03@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