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최태원 회장 “과거 혁신 돌아보고 미래 산업 창출”…배터리 산업 애착 드러내

19일 최종현학술원, 웨비나 '배터리 기술의 미래' 개최

노벨화학상 수상자 등 세계 석학과 교류·협력 촉진

최 회장, 환영사서 ‘미래 혁신’에 주목하는 모습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9일 오전 열린 최종현학술원 웹세미나 ‘배터리 기술의 미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유튜브 화면 갈무리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9일 오전 열린 최종현학술원 웹세미나 ‘배터리 기술의 미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유튜브 화면 갈무리




최태원 SK(034730)그룹 회장이 "미래 혁신의 주요 동인으로서 배터리 기술에 주목해야 한다"며 산업적 측면에서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탐색하고 있다는 뜻을 뚜렷이 했다.



최 회장은 19일 오전 9시 SK그룹 산하 공익재단 최종현학술원에서 개최한 웹세미나 '배터리 기술의 미래'에서 이 같이 말하며 행사에 참여한 주요 석학들을 반겼다. 최 회장은 또한 “역동적인 과거의 혁신을 돌아보아야 미래 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제대로 할 수 있다”며 “배터리 시장이 최근에 성공한 것은 산학에 몸담고 있는 연구자들의 오랜 협업이 있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협업이 확장하고 있는 배터리 생태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최 회장은 현재의 배터리 기술이 극복해야 할 도전 과제에 대해서도 함께 언급했다. 그는 “차세대 배터리를 위한 신소재를 개발하고 폐전지를 재활용하고 재사용하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날 웹세미나는 배터리 기술과 소재의 미래를 주제로 다룬다. 주요 연사로는 지난 2019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스탠리 위팅엄 미국 뉴욕주립대 화학과 교수가 온라인으로 참석한다. 위팅엄 교수는 굿 이너프 텍사스주립대 교수, 요시노 아키라 메이조대 교수와 함께 리튬이온 전지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인물이다. 그는 1971년부터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를 시작해, 엑손모빌 등에도 몸 담아 배터리 산업의 산학협력을 주도한 인물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브랜드 시더 미 UC버틀리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최장욱 서울대화학생물공학부 교수 등도 참석한다. 세미나 진행은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가 맡았다.

한편, 최 회장이 이끌고 있는 SK이노베이션(096770)은 지난 10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서 경쟁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는 최종 결정을 통보 받았다. ITC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및 관련 부품·소재에 대해 미국 관세법 337조(지식재산권 침해 등 불공정 행위를 다루는 제재 규정)를 위반했다고 보고 ‘10년 동안 미국 내 수입 금지를 명령했다.

/이수민 기자 noenemy@sedaily.com


이수민 기자 noenem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