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1만 조선인 숨진 미군 도쿄대공습 추모행사 열려

13일 도쿄 도립 위령당에서 열린 도쿄대공습 조선인 희생자 추모 행사에서 북한 조선인강제연행피해자·유가족협회가 보내온 추도문을 도쿄 조선대학교 여학생이 낭독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캡쳐13일 도쿄 도립 위령당에서 열린 도쿄대공습 조선인 희생자 추모 행사에서 북한 조선인강제연행피해자·유가족협회가 보내온 추도문을 도쿄 조선대학교 여학생이 낭독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캡쳐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 미군의 도쿄대공습으로 희생된 조선인을 추모하는 행사가 도쿄도 요코아미초에 있는 도립 위령당에서 진행됐다.

13일 시민단체 ‘도쿄 대공습 조선인 희생자 추모 모임’은 이날 추도식을 진행했다. 추도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 행사가 시작된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온라인중계됐다.



도쿄대공습은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인 1945년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기 위해 미국이 도쿄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대규모 공습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공습 규모가 가장 컸던 3월 10일에 맞춰 도쿄대공습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린다.

관련기사



당시 도쿄대공습으로 약 10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 가운데 1만명가량이 일본 군수공장 등에 동원돼 일하던 조선인이나 그 가족으로 추산되고 있다.

도쿄 도립 위령당에는 1923년 간동대지진 때 사망한 5만8,000명과 도쿄대공습으로 숨진 전시 사망 민간인 10만5,000명의 유골이 안치돼 있다. 이곳에는 간동대지진 당시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키고 우물에 독을 풀었다’는 유언비어로 학살당한 조선인을 기리는 비석도 세워져 있다.

이날 행사에는 일본 측 아리타 요시후 입헌민주당 참의원 의원과 게시바 세이이치 도쿄도 스기나무구 의회 의원이 참석해 추도사를 했다. 한국에서는 사단법인 ‘평화의 길’ 이사장인 명진 스님과 이종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 상임의장, 김홍걸 무소속 의원이 추도문을 보냈다.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김기혁 기자 coldmet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