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0.5%로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단기물 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는 등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가계·기업의 이자 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이후 단기지표금리별 상승폭(평균 8.1bp)을 변동금리대출 잔액에 적용해 가계·기업의 채무상환부담 변화를 시산한 결과 시장금리 상승으로 인한 기존 가계대출 평균이자율은 0.0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부담액은 4,000억원 상승했다. 대출상품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 평균이자율은 0.06%포인트, 이자부담액은 2,000억원 늘었다. 신용 등 기타대출은 0.09%포인트 상승하고 2,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의 경우 평균이자율은 0.09%포인트 늘고 이자부담액은 5,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중소기업의 평균이자율은 0.09%포인트, 이자부담액은 5,000억원 수준으로 대기업(0.08%포인트, 1,000억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금리 변동이 대출금리 산정 기준인 지표금리 변동으로 이어지면서 가계·기업 대출금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대출금리는 지표금리와 가산금리에 가감조정금리로 구성되고, 지표금리는 코픽스, CD(91일), 은행채(3·6·12개월, 3·5년) 등 장단기 시장금리가 활용된다. 최근 국고채(10년) 금리는 70bp 상승했음에도 주요 지표금리 상승폭은 크지 않다는 진단이다.
다만 가계대출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지표금리 상승 뿐 아니라 우대금리 축소 등 영향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대출의 경우 대기업 대출금리가 하락세를 지속한 반면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소폭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2010년 이후 시장금리와 지표금리 변동을 보면 장기시장금리는 장기지표금리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단기지표금리는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했다. 장기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장·단기 지표금리 간 상대적 변동폭은 장기시장 금리 상승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분석이다. 최근에는 미 국채금리(10년) 상승, 국고채 수급우려 등으로 장기시장금리가 상승했지만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기대 등으로 단기지표금리 상승폭은 제한적인 것으로 봤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