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고를 지켜달라' SNS 뒤덮은 해시태그…무슨 사연이?

충남 한 고교 온라인 커뮤니티에

인근 여고 학생 성희롱 글 잇달아

수사 의뢰 이후엔 2차 가해까지

학생·네티즌 해시태그 운동 벌여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이미지투데이




‘#○○여고를 지켜 달라.’



지난 3일 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의 ‘실시간 인기 키워드’로 충남 소재 A 여고를 지켜 달라는 해시태그가 등장했다. 인근의 B 남고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최근 A 여고 학생들을 성희롱하는 게시물들이 올라온 것이 발단이었다. 두 학교가 법적 대응에 나섰지만 오히려 2차 가해가 이어지자 학생들과 네티즌들이 자발적 ‘해시태그 운동’을 벌이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B 남고 갤러리에 지난달 올라온 게시물들. B 남고는 A 여고 바로 옆에 붙어 있다./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B 남고 갤러리에 지난달 올라온 게시물들. B 남고는 A 여고 바로 옆에 붙어 있다./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8일 A 여고와 B 남고 등에 따르면 문제의 게시물들이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B 남고 갤러리(게시판)’에 올라온 것은 지난달 중순부터다. 게시물에는 ‘A 여고 학생들의 신체 부위를 때리고 싶다’는 등 수위 높은 성적 비하 표현들이 포함돼 있었다. A 여고 교감은 “3월 말 한 학생으로부터 ‘우리 학생들을 겨냥한 음란 글이 돌아다닌다’는 제보를 받고 사안을 처음 알게 됐다”며 “익숙지 않을 정도로 불쾌한 표현들이 많아 학생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A 여고는 이 사실을 즉각 B 남고 측에 알리고 대응에 나섰다. 해당 게시판은 누구나 들어가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지만 일부 게시물에는 B 남고 학생이 아니면 알기 어려운 용어들이 언급돼 있었기 때문이다. A 여고와 B 남고는 문제의 글을 올린 이들이 누구인지 밝히기 위해 경찰에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음란물 유포 등)로 수사를 의뢰했다. B 남고 관계자는 “입에 담기도 힘든 여성 혐오 표현들을 우리 학생들이 했다면 제대로 처벌하고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외부인이 쓴 것으로 밝혀지면 명예훼손으로 고소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B 남고 갤러리에 지난 3일 올라온 게시물들. ‘성희롱 게시물’에 대한 A 여고 학생들의 문제 제기를 조롱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B 남고 갤러리에 지난 3일 올라온 게시물들. ‘성희롱 게시물’에 대한 A 여고 학생들의 문제 제기를 조롱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하지만 학교의 강경 대응 방침에도 해당 게시판에서는 오히려 A 여고 학생들에 대한 ‘2차 가해’가 이뤄졌다. ‘수사 진척이 안 되고 아무 일 없다는 듯 묻히면 (A 여고 학생들이) 좌절할 생각에 기분이 좋다’ ‘상대가 여성이면 범죄가 아니다’ 등의 게시물이 모욕적 용어들과 함께 또다시 올라온 것이다. A여고의 한 재학생은 “처음 이 사건을 친구한테 듣고 ‘왜 우리가 이런 성희롱을 당해야 하나’ 싶어서 눈물이 났다”며 “공론화 이후에 더욱 심한 말들이 나오는 걸 보니 앞으로 더한 짓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무서웠다”고 했다.

결국 재학생과 네티즌들은 지난 3일부터 ‘#○○여고를 지켜 달라’는 해시태그를 트위터 게시물에 첨부하는 방식으로 해시태그 운동까지 펼치고 있다. 이번 사건이 그냥 묻혀서는 안 된다는 취지에서다. 트위터에 관련 해시태그를 달고 3일 하루 동안 올라온 게시물만 3만 2,800개에 달한다.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인 A 여고 교감은 “일단 경찰 수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한다”면서도 “이번 사건 외에 또 다른 성희롱 피해가 있었는지에 대한 재학생 설문도 다음 주부터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해당 사건은 충남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맡아 수사하고 있다. 충남경찰청 관계자는 “수사 의뢰 전부터 사건을 인지해 들여다보고 있었다”며 “관련 절차에 맞춰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youngkim@sedaily.com


김태영 기자 youngk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