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백신 접종 속도전 나선 당정…與 "백신 부작용 先긴급지원-後확인제 요구"

"신속한 백신 접종 위해 주말·야간에도 접종"

"백신 낭비 없도록 예비접종자 명단 확보할 것"

"접종자 나타나지 않으면 주변 사람이라도 맞아야"

"혈전증 부작용...현장 조치 잘 하면 위험하지 않아"

권덕철 "부작용 인과관계 무관하게 긴급지원 해줘야"

사회필수인력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AZ)백신 접종이 시작된 26일 최태영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이 백신을 맞고 있다. / 연합뉴스사회필수인력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AZ)백신 접종이 시작된 26일 최태영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이 백신을 맞고 있다. /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백신을 접종 한 뒤 이상 반응을 보일 경우 신속한 긴급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상 반응의 원인 규명을 하다 시간이 지연될 경우 백신 불안감이 증폭될 수 있다는 판단 속에 ‘선(先)지원-후(後)확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속도감있는 백신 접종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 백신 점검단장을 맡고 있는 김성주 의원은 이날 당정 회의 후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제는 접종 속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며 “신속, 안전, 책임이라는 접종 3원칙에 따라 보다 빨리 더 많은 접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지금까지는 취약시설과 고위험군 대상 접종이라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었다”며 “4월 중순 이후 접종기관 수가 늘고 대상이 확대되면서 매일 10만회 이상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75세 이상 접종자가 자녀나 가족을 동반할 경우 자녀가 직장을 다니면 접종이 어렵다는 지적을 수용해 주말과 야간 접종을 추가했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논란이 되고 있는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해서는 “피접종자와 의료진이 충분히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환자, 의료진 에 통보 안내를 강화했다”며 조기 대응을 약속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일부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해서 백신 접종을 멈출 수는 없다. 미국, 유럽도 이상현상을 발견하고 일시 중단한 적이 있지만 내용을 확인하고 바로 접종을 재개했다”며 “득이 실보다 크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만, “이상 반응과 부작용에 대한 국가의 책임 있는 대응, 선제적 지원을 정부에 요청했다”고 말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에 적극적으로 신속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권 장관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접종과 이상 반응의) 인과 관계가 나온 경우 당연히 감염병 예방법에 따라 지원한다. 인과 관계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라도 최소한 진료비, 사망에 이른 경우 장례비 등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줘야 하지 않겠냐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분명히 했다.

한편, 신현영 민주당 의원은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후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그 치료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내용의 법안을 추진하겠다”고 발의검토에 착수했다. 신 의원은 “백신과 부작용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정부가 선지원하는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주재현 기자 joojh@sedaily.com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