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SEN투자전략]"코스피,공매도 딛고 상승 추세 지속…펀더멘털 봐야"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간밤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나타냈다. 다우지수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반면 나스닥은 하락했다.


국내 증시는 공매도 재개 2거래일 만인 지난 4일 반등에 나섰다. 이날 상승 추세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펀더멘털에 기초한 종목별 차별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5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7.31포인트(0.29%) 상승한 3만4230.34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다시 썼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93포인트(0.07%) 오른 4167.59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1.08포인트(0.37%) 하락한 1만3582.42로 장을 마쳤다.

전일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이야기로 시장의 우려를 야기했던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금리 관련 발언에 대한 진화에 나서며 기술주들의 반등세가 두드러졌다.

옐런 장관은 전일 “우리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금리를 다소 올려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고 이에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 파장이 커지자 옐런 장관은 이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행사에서 해당 발언은 금리 인상을 예견하거나 권고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하며 진화에 나섰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혼재된 결과를 보였다. 4월 ADP민간고용이 74.2만 명으로 시장 예상보다는 소폭 하회했지만 전월보다 증가했다. 4월 ISM비제조업지수는 62.7로 전월과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미국의 서비스업은 강한 확장세를 이어갔다. 4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최종치는 64.7로, 전월 확정치 60.4에서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주목할 변수는 펀더멘털이라고 입을 모은다.

관련기사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증시가 펀더멘탈 장세로 진화 중인 가운데, 예상보다 빠른 글로벌 경기,교역 회복 속도와 강한 모멘텀에 근거한 한국 기업이익 전망 역시 상향조정되는 시기”이라며 “물가 상승압력 확대와 공매도가 글로벌 증시와 코스피 상승추세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공매도로 인한 일시적 수급 불안은 오히려 적극적인 비중 확대 기회라고 조언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공매도는 단기 수급교란 요인으로 종목별 변동성 확대 변수로 판단한다”며 “오히려 시차를 두고 글로벌 유동성이 유입되는 계기가 될 수 있고, 현선물 가격 왜곡현상이 완화되면서 대형주 수급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달러 약세도 외국인 수급개선의 또 다른 변수 액티브 펀드, 헷지펀드, 롱숏펀드 등 다양한 성격의 글로벌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익 모멘텀이 풍부한 상황에서는 실적 턴어라운드를 주도하고 있는 가치주, 경기민감주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구조적 성장이 유효한 인터넷, 2차 전지, 기계(신재생에너지)와 수출모멘텀과 정책 동력으로 턴어라운드가 가시화되는 반도체, 자동차를 주목해야 한다”며 “글로벌 펀더멘털 모멘텀에 근거한 한국 기업이익 개선, 외국인 순매수 유입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김혜영 hyk@sedaily.com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