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촉진하려면 ESG 측정·평가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6일 서울 영등포구 금투센터에서 열린 ‘ESG와 금융시장:쟁점과 과제’ 세미나에서 “ESG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인프라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은 “국제적인 ESG 표준 요소를 고려해 계량화를 추진하되 한국적 상황과 산업별 특징을 감안해 ESG 중요도를 판단해야 한다”며 “공시·평가·회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며 ESG 경영전략을 기업 신용 등급에 반영하는 방안도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ESG 가치 평가 활성화에는 증권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위원은 “증권사들은 리서치 역량을 키워 개별 기업의 ESG 경영 현황을 일반 투자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강화해야 하고 ESG 점수 개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찾아 적극적으로 중개·투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기 위해 ESG의 중요 내용을 공시하도록 유도하고 관련 지수도 적극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본연은 ESG 경영을 촉진하려면 정부의 규제 강화 일변도보다 유인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내다봤다. 정부 규제가 부각되면 ESG 관련 투자를 제도 한도 내에서만 집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을 통해 ESG에 투자할 인센티브를 구축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박영석 자본연 원장은 “금융은 장기 투자의 시계를 갖고 있고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금융 제도를 바탕으로 환경·인권 등에 대한 기여도를 계량화해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규제 수준 이상으로 ESG 관련 투자를 집행하는 기업에 재무적 이익을 돌려주자는 것이다. 온실가스를 감축한 경우 이에 대한 실적을 배출권으로 바꿔주는 상쇄배출권이 대표적이다.
이 위원은 “사회적 성과를 얻은 기업들은 이를 ESG 거래 시장에서 매도해 재무 이익을 거둘 수 있고 ESG 가치 투자가 어려운 기업은 금융시장에서 크레디트(신용)를 매수해 손쉽게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소개했다.
또한 ESG 성과가 좋은 회사에 채권·대출 금리 등 자본조달 비용을 줄여주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업은 자본조달 비용 축소, 투자자들은 ESG 채권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기여, 정부는 부정적 외부 효과 감소를 누려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경우 금융사들은 순이자마진 감소 등으로 수익이 줄어드는 만큼 금융사에 세제혜택, 건전성 규제 완화, 보조금 지급 등 적극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자본연은 제언했다.
/심우일 기자 vit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