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부산대 연구팀, 악성 뇌종양 재발 억제 약물 찾아냈다

윤부현 교수 국제학술지에 게재

당뇨병 치료제 '글리메피리드'

암 줄기세포 제어 효과 확인

부산대 생명과학과 윤부현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 치료제 '글리메피리드'가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암 줄기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부산대 윤부현(왼쪽) 교수와 강현구 학생. /사진 제공=부산대부산대 생명과학과 윤부현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 치료제 '글리메피리드'가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암 줄기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부산대 윤부현(왼쪽) 교수와 강현구 학생. /사진 제공=부산대




[부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부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악성 뇌종양 재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관련기사



부산대 생명과학과 윤부현 교수 연구팀은 당뇨병 치료제 ‘글리메피리드’가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암 줄기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암 조직의 0.1∼5%를 차지하는 암 줄기세포는 항암 치료 후에도 살아남아 암세포를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세포를 말한다.

윤 교수 연구팀은 먼저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에서 교모세포종을 방사선 치료하면 암 줄기세포에서 CLIP3 단백질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또 이 단백질 양이 줄면 암 줄기세포의 먹이가 되는 포도당을 옮기는 CLUT3라는 물질이 세포 안으로 쉽게 들어와 암세포가 활성화되는 구조를 밝혀냈다. 이어 약물 반응 유전체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글리메피리드가 CLIP3 단백질 발현을 회복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뇌종양 환자에게서 떼어낸 암세포를 실험용 쥐에 이식해서 한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방사선 치료와 글리메피리드 투여를 병행하면 암 줄기세포를 제어해 암 재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교모세포종 치료에 쓰는 약물인 테모졸로마이드와 비슷한 암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모졸로마이드는 저항성 때문에 환자의 절반가량에게는 쓰지 못하지만 글리메피리드는 모든 환자에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글리메피리드는 이미 안정성이 검증돼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완료됐으며 신속한 임상 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지난 6일 종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실험·임상 암 연구 저널’에 게재됐다. 부산대 생명시스템학과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강현구 씨가 제1 저자로, 연구 책임자인 윤 교수가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또 연세대 의대 강석구 교수와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김해유 교수가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