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거래소, 증시 10대 뉴스로 '코스피 3,000·코스닥 1,000 돌파' 등 선정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KRX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전경 / 사진=한국거래소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KRX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 전경 / 사진=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가 올 한 해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준 이슈들로 ‘2021년 증권·파생상품 시장 10대 뉴스’를 선정했다.



29일 한국거래소는 올해 증권 및 파생상품 시장에 영향을 준 주요 이슈들에 대해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10대 뉴스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 중 최고 뉴스로는 ‘코스피 3,000·코스닥 1,000 돌파’가 선정됐다.

△코스피 3,000·코스닥 1,000 돌파= 코스피는 글로벌 경기 회복에 기반한 수출 증가와 국내 기업의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지난 1월 7일 사상 최로초 3,000선을 돌파했다. 이는 앞선 2007년 7월 25일 2,000선에 최초 진입한 이래 13년 5개월 만이다. 이후 6개월 뒤인 7월 6일에는 3,305.21로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코스닥 지수 역시 코로나19 진단·치료 등 바이오주 강세 등의 영향으로 지난 4월 12일 1,000선을 회복했다. 코스피가 1,000선을 되찾은 것은 정보기술(IT) 붐이 일었던 지난 2000년 9월 14일 이후 약 20년 7개월 만이다.

△국내 투자자의 해외주식 투자 급증=개인 투자자의 직접 투자 열풍이 이어짐에 따라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투자가 큰 폭 증가했다. 올 들어 이달 24일까지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한 해외주식 결제 대금은 3,908억 달러로 지난해(1,983억 달러) 대비 97% 늘어났다. 해외주식 보관금액 역시 746억 달러(10월 말 기준)로 전년(470억 달러) 대비 59% 증가했다.



△코스피 및 코스닥시장 공모금액 사상 최대=올해 코스피시장은 BBIG(배터리·바이오·인터넷·게임) 업종에 속한 미래성장기업의 상장 활성화에 힘입어 기업공개(IPO) 공모금액이 17조 2,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는 SK아이이테크놀로지(2조 2,459억원), 카카오뱅크(2조 5,526억원), 크래프톤(4조 3,098억원) 등 대형 우량기업의 공모가 이어지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관련기사



코스닥시장도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및 바이오 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술특례 상장 증가 등에 따라 IPO 공모금액이 3조 6,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양 시장 기준 총 20조 8,000억원으로 종전 최대 규모인 2010년 10조 2,000억원(코스피 8조 8,000억원, 코스닥 1조 4,000억원)의 2배 이상이다.

△개인 투자자의 공모주 참여 기회 확대=올해부터 개인 투자자에 배정되는 공모주 물량이 기존 20%에서 30%로 늘어나고, 개인 물량 중 절반 이상에 '균등배정' 방식이 도입됐다. 지난 2월 피엔에이치테크가 처음으로 개인 물량을 30%까지 확대해 공모를 진행했고, 씨앤투스성진을 시작으로 개인투자자 공모주 물량에 균등배정 방식이 적용됐다. 카카오페이는 공모주 개인 물량 전체에 균등배정 방식이 적용된 첫 사례다.

△메타버스·대체불가능토큰(NFT) 등 미래산업 관련주 투자 열풍=올해 코로나19로 인해 급부상한 메타버스와 NFT 등 미래산업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며 관련주들이 거침없는 오름세를 기록했다. 메타버스 관련주인 위지윅스튜디오는 11월 한 달간 주가가 80.55% 상승했고, NFT 대표주 위메이드는 앞선 10월 주가가 161%가량 급증했다. 메타버스 상장지수펀드(ETF) 4종의 경우 이달 9일 기준 순자산총액이 1조 109억 원에 이른다.

△공매도 부분 재개 및 한국판 반(反)공매도 운동=금융위원회는 우리나라 및 글로벌 증시 안정화를 바탕으로 올해 5월 3일부터 공매도 부분 재개를 결정했다.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스피200 및 코스닥 150을 구성하고 있는 대형주에 한해 공매도를 허용했으며, 이와 동시에 개인투자자들도 증권사 등을 통해 주식을 차입해 공매도 투자가 가능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개인대주제도' 운영이 시작됐다. 한편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을 중심으로 한국판 게임스톱 운동인 'K스톱 운동'을 펼친 결과, 올해 7월 15일 기준 코스닥 공매도 잔고 1위인 에이치엘비를 집중 매수하기도 했다.

△쿠팡 뉴욕거래소 상장=올해 3월 11일 쿠팡이 뉴욕거래소에 상장한 이후 마켓컬리, 카카오엔터 및 두나무 등이 미국상장을 검토하는 등 K-유니콘기업의 해외이탈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유니콘기업이 보다 원활하게 우리 시장에 상장할 수 있도록 지난 4월 의결권 공동행사약정 활용 및 미래 성장성 중심 심사체계 도입 등을 포함한 'K-유니콘 상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문화 확산= 코로나19 이후 세계적으로 환경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며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고려하는 책임투자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거래소는 기업이 적극적으로 ESG 정보를 공개하고 투자자들이 이를 활용해 책임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있으며, ESG관련 지수 개발 및 관련 ETF, (상장지수증권)ETN 상장 등을 통해 ESG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상장사 결산실적 사상 최고치 달성=코스피시장은 올해 3분 기준 누적 매출액(1,651조 원), 영업이익(143조 원) 및 순이익(128조 원)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 누적 매출액(157조 원), 영업이익(12조 원) 및 순이익(11조 원)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적 호조의 주요인으로는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의 재정정책 및 수출 호조 등이 꼽혔다.

△ETF 500종목 돌파 및 순자산총액 최대=ETF 시장은 지난 2002년 시장개설 이후 19년 만인 올해 8월 500개 종목을 돌파했고, 순자산총액은 지난 11월 70조 원을 돌파했다. 기존 국내 시장대표형 상품 이외에도 업종섹터, 액티브, 해외형 등 다양한 상품의 상장이 ETF시장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