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구미형 일자리, 6번째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

LG화학, 자회사 설립해 2차전지 양극재 생산공장 건설

3년간 4,754억원 투자…연생산 6만톤·신규고용 187명

LG BCM 구미공장 조감도/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LG BCM 구미공장 조감도/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경북 구미형 일자리가 정부의 6번째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됐다. LG화학은 구미에 3년간 4,754억원을 투자한 배터리 소재 공장을 통해 187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제5차 상생형 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를 열어 구미형 일자리를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지역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사·민·정 등 경제주체가 고용·투자·복리후생 등 분야에서 합의를 이루고, 이에 기반해 벌이는 사업을 말한다. 광주, 밀양, 횡성, 군산, 부산에 이어 이번에 구미가 6번째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됐다.



구미형 일자리는 LG화학이 자회사로 LG BCM(Battery Core Material)을 설립하고 3년간 4,754억원을 투자해 2차전지 양극재 생산공장을 짓는 내용이다. 공장의 생산능력은 연간 6만톤이며 신규고용 규모는 187명이다. 구미 노·사·민·정은 앞서 장기간 사회적 논의를 거쳐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투자·고용계획 등을 구체화해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신청했다.

관련기사



구체적인 상생 합의 내용을 보면 LG BCM은 협력기업에 안전설비·분석 장비를 지원하고, 구미제5국가산단 내 환경·사회·지배구조(ESG)펀드와 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한다. ESG펀드는 LG화학이 100억원을 출자해 조성되며, 협력사에 ESG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저리 융자 지원하는 데 쓰인다.

LG화학과 지자체가 30억원씩 출자해 조성하는 상생협력기금은 생산성 향상 컨설팅, 에너지절감 설비 지원, 유해화학물질 관리 지원 등에 활용된다. 또한 LG화학은 지역 교육기관인 마이스터고, 폴리텍, 금오공대 등과 전문 교육과정 및 장학제도 운영 협약도 체결했다.

노사는 적정 임금 합의, 노사 분규 자제, 노사 갈등 발생 시 합리적 해결과 분규 최소화를 위한 갈등조정위원회 설치 등에 합의했다. 지방정부는 국가산단 임대료를 50년간 무상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 7월 'K-배터리 발전전략' 발표 이후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분야에 이뤄지는 대규모 투자로, 양극재 단일 공장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면서 “고용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핵심 소재의 안정적 공급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