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쇳물 생산 48년’ 포스코 포항 1고로, 가동 멈춘다

29일 포항제철소서 종풍식

1973년 이후 48년여 만에 역사속으로

누적 쇳물 생산량 5,520만 톤

포항제철소 1고로/사진=연합뉴스포항제철소 1고로/사진=연합뉴스




1973년부터 가동되며 포스코의 살아있는 역사로 불리던 포항제철소 1고로(용광로)가 48년 6개월여 만에 생산을 멈춘다.



포스코는 29일 포항제철소에서 김학동 사장, 이시우 안전환경본부장, 양원준 경영지원본부장, 남수희 포항제철소장, 이덕락 기술연구원장, 노동조합 등이 참석한 가운데 1고로 종풍식을 열었다. 종풍이란 수명이 다한 고로의 불을 끈다는 의미다. 이 자리에서 김학동 사장은 “첫 출선 당시 고 박태준 명예회장이 직원들과 함께 1고로 앞에서 만세를 외치던 모습이 아직도 선하다”며 “변변한 공장 하나 없던 작은 국가가 짧은 기간 내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포항 1고로와 직원들의 노고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1970년 4월 1일 착공한 포항제철소는 3년 2개월 뒤인 1973년 6월9일 1고로에서 처음으로 생산을 시작했다.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을 자력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조선, 자동차, 가전 등 국내 제조업이 단기간 내 성장을 거두는 밑거름이 됐다는 평가다. 이에 포항 1고로는 국가 경제 성장을 뒷받침했다는 의미로 ‘민족 고로’, ‘경제 고로’로 불려왔다. 철강협회에서도 국내 최초·최장수 고로로서 포항 1고로의 상징적 의미를 기념해 첫 출선일인 6월 9일을 ‘철의 날’로 제정하기도 했다.

포항 1고로가 이날까지 생산한 쇳물은 총 5,520만 톤에 달한다. 이는 30만t급 초대형 유조선 1,380척을 건조하거나 중형 자동차 5,520만 대 생산 또는 인천대교 1,623개를 건설할 수 있는 양이다. 내용적 1,660㎥의 소형 고로인 1고로는 최근 준공되는 5,500㎥ 이상의 초대형 고로와 비교해 생산성 등에서 불리한 면이 있었다. 하지만 포스코는 제선 기술을 바탕으로 역사적 상징성이 깊은 1고로의 생명을 연장해 왔다.

포스코는 1고로 내부를 완전히 냉각하고 철거 작업을 거쳐 ‘포항1고로 뮤지엄’으로 개조해 일반인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1고로 종풍으로 연간 100만 톤 가량 감소하는 출선량을 만회하기 위해 남은 8개 고로의 연원료 배합비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