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문화 학생 16만명…"맞춤 교육·심리상담 제공"

전체 3%로 늘었지만 '교육 격차'

정부, 학업·진로 지원대책 마련

김부겸 국무총리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0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김부겸 국무총리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0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외국인인 ‘다문화가족 자녀’는 일선 학교 현장에서 더 이상 예외적 존재가 아니다. 각급 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족 청소년은 지난해 16만 명으로 전체 학생 가운데 3%에 이른다. 저출산 흐름 속에 다문화 청소년 비중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학교 이후 진학률이 전체 청소년 대비 크게 떨어지는 등 교육 격차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정부가 학령기(만 7~18세)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지원 대책을 처음으로 발표한 이유다. 가족센터와 각 학교에서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맞춤 교육과 심리 상담 등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전체 학생과 다문화 학생의 숫자 추이. /여성가족부 제공전체 학생과 다문화 학생의 숫자 추이. /여성가족부 제공



4일 여성가족부 등 관계 부처에 따르면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학령기 다문화 학생은 2016년 9만 9186명에서 지난해 16만 56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전체 학생 가운데 다문화 학생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1.7%에서 지난해 3%로 급증했다. 일부 외국인 밀집 지역에는 다문화 학생이 대다수인 학교도 있다. 2020년 기준 경기도에서 다문화 학생이 가장 많은 학교는 비율이 96.1%에 달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교육 수준 격차가 두드러지는 등 다문화 학생들이 제대로 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여가부가 2018년 실시한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 보면 다문화 청소년의 취학률은 일반 청소년에 비해 중학교 5.1%포인트, 고등학교 4.5%포인트 낮았다. 대학교 이상의 고등교육기관에서는 격차가 18%포인트(국민 전체 취학률 67.6%, 다문화가족 자녀 49.6%)까지 벌어졌다.

같은 조사에 따르면 다문화가족 자녀가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도 국어·영어·수학 학습 지원(5점 만점에 3.37점), 진로 상담 및 진로 교육(3.1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한국어 교육(2.28점)과 사회 적응 교육(2.24점)보다도 학교 교육과 진로 상담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학령기 자녀를 키우고 있는 결혼 이민자들도 자녀 양육의 어려움으로 학업·진로에 대한 정보 부족(47.1%), 교육비와 용돈 부담(40.9%)을 주로 꼽았다.

정부가 4일 공개한 학령기 다문화가족 자녀 포용적 지원 방안./여성가족부 제공정부가 4일 공개한 학령기 다문화가족 자녀 포용적 지원 방안./여성가족부 제공


정부는 이날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제20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를 열고 학령기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을 위한 지원 방안을 공개했다. 우선 내달부터 전국 78개 가족센터에서 다문화 아동·청소년을 위한 학업·진로 컨설팅과 일대일 전문 심리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초등학교 입학 전후의 아동을 위한 읽기·쓰기·셈하기 등 기초학력 교육도 90개 가족센터에서 진행한다. 결혼 이민자 부모 교육도 실시하며, 교원과 공공 분야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다문화 이해 교육도 강화한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