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10만명 훌쩍 넘었는데…재택치료 곳곳 '구멍'

인프라 확대보다 빨리 감염 확산

치료 안내 못받는 사례 속속 발생

고위험군 대응 늦어져 피해 우려

선택과 집중형 의료체계 마련해야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재택치료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된 3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하나이비인후과병원 호흡기 전담 클리닉에서 의료진이 재택치료자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사진 제공=사진공동취재단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재택치료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된 3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하나이비인후과병원 호흡기 전담 클리닉에서 의료진이 재택치료자들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사진 제공=사진공동취재단




정부가 코로나19를 독감처럼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를 위한 전제 조건인 ‘효율적인 재택치료’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부족한 의료 인력과 기관 탓에 확진으로 판정되고도 재택치료 안내를 받지 못하거나 재택치료 키트 배송이 늦어지는 사례가 속속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 검사·진단·치료 체계를 일반 의료 체계로 편입하는 것이 ‘독감 수준 관리’의 핵심인데 아직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재택치료가 계속 혼선을 빚으면 고위험군 조기 치료가 늦어져 피해를 키울 수 있다면서 ‘선택과 집중형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4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 환자는 전날(9만 7136명)보다 7721명 증가한 10만 4857명으로 처음으로 10만 명대를 넘어섰다. 지난 1월 말까지 1만∼3만 명대를 오르내리던 재택치료 환자 수는 오미크론이 지배종이 되면서 급증했다. 지난달 28일 처음 5만 명을 넘은 지 일주일 만에 10만 명대가 됐다.

관련기사



현재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은 총 494곳으로 관리 가능한 재택치료자 최대 인원은 15만 명이다. 관리 의료기관 확충으로 전날보다 의료기관이 33곳, 관리 가능한 최대 인원은 4만 5000여 명 늘었지만 포화 상태를 목전에 두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재택치료 관리도 곳곳에서 구멍이 뚫리고 있다. 부산에 거주하는 A 씨는 “딸이 확진된 지 4일째 돼서야 재택치료 안내를 받았다”며 “문진표 작성을 위한 혈압계,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도 오지 않아 곤란하다”고 토로했다. 고위험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에 사는 B 씨는 “아버지가 고혈압과 당뇨를 앓고 있어 현재 경증이라 해도 언제든지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걱정이 된다”면서 “아버지가 가슴이 답답하다는 증상을 호소해 보건소에 연락했지만 통화가 되지 않아 답답한 심정”이라고 호소했다.

재택치료 관리에 구멍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의료 인프라 확대보다 확진자 증가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중수본에 따르면 의사 한 명이 관리하는 재택치료 환자는 150명에 달한다. 정부는 확진 후 첫 단계인 기초역학조사를 간소화하고 모니터링 횟수도 기존 2~3회에서 1~2회로 축소하기로 했지만 연일 쏟아지는 환자들을 제한된 의료진이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설 연휴가 끝나고 검사 수가 평일 수준으로 회복되면 하루 확진자는 2월 말 10만 명까지도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특성을 고려해 고위험군에 대한 재택치료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의사 1명이 150명을 관리하는 것은 관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고위험군은 관리가 필요하니 재택치료 관리를 철저하게 하고 일반 환자들은 병·의원에서 경구치료제를 처방 받은 후 격리 관리하면서 이상이 생겼을 경우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재택치료자 분류의 기준이 필요하다”며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 백신 접종자, 50세 이하, 무증상자만 재택치료를 하고 고위험군은 생활치료센터나 전담 병원으로 옮겨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재택치료를 하는 사람들은 매일 직접 연락을 할 필요 없이 하루 2회 스스로 체온과 산소포화도 등 증상을 기입하게 한 후 이상 반응이 있다고 하는 사람만 확인을 철저하게 하는 편이 낫다”고 덧붙였다.


왕해나 기자·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