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中 올림픽 '한복공정' 논란에 외교부 "고유문화 존중입장 지속 전달"

재외공관 등 통해 한국 고유문화 홍보도 이어가기로

4일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베이징=연합뉴스4일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베이징=연합뉴스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발생한 ‘한복공정’ 논란과 관련 외교부가 “중국 측에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존중 입장을 지속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재외공관 등을 통해 한복을 비롯한 한국의 고유문화를 계속 홍보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외교부는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이 끝난 뒤 발생한 한복 논란과 관련해 “한복이 전 세계의 인정을 받는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라는 점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은 여성을 중국 소수민족 중 하나로 참여시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또 올림픽 홍보영상에 중국 내 조선족이 김치를 담그거나 한국 고유의 전통놀이를 하는 장면을 포함하기도 했다. 앞서 한복의 기원을 두고 중국 네티즌 등이 중국에서 유래한 복식이라 주장하며 ‘문화공정’ 논란이 벌어진 가운데 중국 정부가 전 세계에 방영되는 영상에서 오해의 소지를 일으킬 장면을 넣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외교부는 이와 관련 “한중 양측은 그간 관련 협의에서 양 국민 간 상호 이해와 우호 정서 증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한 바 있다”며 “우리의 기본 입장을 바탕으로 당당하고 건설적으로 지속해서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재외공관 등을 통해 한국의 고유문화를 국제사회에 계속해서 홍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베이징올림픽 개회식에 정부 대표로 참석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소수 민족이라고 할 때는 그 민족이 하나의 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경우를 주로 말한다”며 “한국은 세계 10위권 큰 나라로 존재하고 있는데 양국 간 좋은 관계에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언급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