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김해공항 인근에 친환경 수변도시 '제2 에코델타시티' 조성한다

부산 ‘제2 에코델타시티’ 조성 계획도. /자료 제공=부산시부산 ‘제2 에코델타시티’ 조성 계획도. /자료 제공=부산시




부산시가 김해국제공항 서측에 위치한 강서구 강동동과 대저2동 일원을 친환경 수변도시인 ‘제2 에코델타시티’로 조성한다. 시는 제2 에코델타시티 조성을 통해 서부산권을 부·울·경 메가시티의 중심으로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8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서구 강동동과 대저2동 일원 10.5㎢ 부지에 제2 에코델타시티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김해공항 서측에 위치한 해당 부지는 앞서 김해공항 확장 계획에 따라 추가 활주로가 계획됐으나 가덕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과 시행에 따라 개발계획에서 제외됐다. 김해신공항 확장계획이 사실상 백지화되면서 남측 명지신도시로부터 북측에 계획된 연구개발특구까지 신도시 축을 단절시키는 공간이 된 셈이다.



시는 이 지역에 제2 에코델타시티로 조성해 강서구 전체를 남북축으로 연결하는 연담도시 구조를 완성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북측에 계획 중인 연구개발특구와 함께 남측으로는 에코델타시티, 명지신도시를 남북축으로 도시가 성장해서 이어지는 공간구조를 완성하게 된다”며 “지역균형 발전을 견인할 부울경 메가시티의 핵심 거점공간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제2 에코델타시티는 현재 추진 중인 에코델타시티와 연계한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된다. 사업비 6조 4000억 원을 투입해 2037년까지 단계별로 도시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올해 중으로 예비사업 시행자를 선정한 다음 예비타당성 조사와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를 거쳐 2025년 착공하고 2028년 토지 분양을 시작해 이르면 2030년부터 순차적인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지역에 들어설 핵심 시설과 기능으로는 국제업무, 항공산업클러스터, 친환경 주거, 연구개발(R&D), 도심항공모빌리티(UAM)·드론 등을 종합적으로 구상하고 있다.

시는 제2 에코델타시티가 완성되면 새로 건설되는 가덕신공항과 부산신항만의 배후지로서 강서구 발전의 새로운 거점이 되고 나아가 지역균형 발전을 견인할 부·울·경 메가시티의 핵심 거점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서부산권 개발을 통해 강서구 전체가 현재 인구 14만여 명에서 40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명품 자족도시로 완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시는 제2 에코델타시티 조성의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관건인 사통팔달의 교통망 등 도시기반시설 확충을 추진한다. 우선 강서지역 신도시 개발을 통해 명지신도시에서 제2에코델타시티를 거쳐 대저까지 연결되는 2개의 남북교통축을 조성한다. 명칭은 에코델타 1로와 2로로, 7개의 동서교통축과 효율적으로 연계해 서부산권 도로망 체계를 완성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강서구 명지에서 대저 구간을 연결하는 도시철도 강서선은 접근성이 좋은 트램으로 조기 구축하고 기존 운영 중인 도시철도 3호선, 부산김해경전철은 연말 개통할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연계한다.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 중인 도시철도 하단~녹산선도 조속히 구축해 상호 간의 환승 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제2 에코델타시티 조성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강서를 필두로 한 서부산권을 서울 강남처럼 글로벌 거점지역으로 변화시켜 나갈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