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교통약자 편의성 위해 저상버스·장애인콜택시 늘린다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용 환경 개선

장애인 콜택시 인원·차량 확충도





서울시가 교통약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저상버스로 교체한다. 장애인콜택시도 운전원·차량 투입을 늘려 대기시간을 대폭 단축한다.



서울시는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이용 환경 개선을 위한 이 같은 대책을 올해부터 2025년까지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대중교통을 탑승하는 과정에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뿐만 아니라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시민들이 불편 요소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시내버스는 광역노선, 도로폭 협소·급경사 등으로 저상버스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한 전 노선에 저상버스 도입을 확대한다. 지난 2020년 초 기준 50%인 저상버스 도입률을 올해 74.8%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2025년에는 누적 6564대를 도입해 10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저상마을버스도 올해 71대에 이어 2025년까지 73개 노선에 235대(도입률 14.2%)를 도입한다.

장애인콜택시는 대기시간을 현재 32분에서 25분 수준으로 단축한다. 이를 위해 운전원을 100명 추가로 투입해 가동률을 현재 72%에서 82%까지 10%포인트 높이고 차량 대 수도 늘려 법정 대수 기준 충족률을 올해 114%까지 높이기로 했다.

지하철에는 326개 전체 역사 중 '1역사 1동선'이 확보되지 않은 21개 역사에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승강 편의시설 설치를 추진한다. 1역사 1동선은 지하철역에서 교통약자가 지상에서 대합실을 거쳐 승강장까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을 이용해 하나의 동선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체계를 의미한다. 이달 기준 1역사 1동선 확보율은 93.6%(305개역)이다.

백호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교통약자를 비롯한 모든 시민이 서울 대중교통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반 시설 확충과 환경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