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지역구 의원서 李 지원군으로…종로 다시 찾은 이낙연·정세균 [현장, 2022대선]

이낙연 “李, 민주 정부의 전통을 계승할 적임자”

정세균 “文이 법제화한 손실보상제, 李가 실현할 것”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과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상임고문은 21일 종로를 찾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원 사격에 나섰습니다. 문재인 정권 하에서 총리를 지낸 두 중량급 인사가 적극적으로 유세에 나서는 것은 친문(親文) 세력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자신들의 ‘온건파’ 이미지를 살려 온건·중도 유권자의 표심을 유도하기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또한, 이들이 모두 ‘정치 1번지’라 할 종로구에서 지역구 의원으로 활동했던 바 있는 만큼, 이날 종로 유세가 과연 서울 유권자들의 표심을 흔들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됩니다.

이낙연 “李, 민주 정부의 전통을 계승할 적임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이 21일 종로 시그나타워 앞에서 유세하고 있다. / 성채윤 기자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총괄선대위원장이 21일 종로 시그나타워 앞에서 유세하고 있다. / 성채윤 기자




이 위원장은 이날 종로 유세에서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경험과 역량을 갖춘 후보를 뽑아야 한다”며 이 후보에 대한 지원 사격에 나섰습니다. 이 위원장은 “대통령을 선택할 때는 위기 극복, 민주, 평화 등 굵은 것들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를 모두 고려하면) 이 후보와 더불어민주당이 가장 적합하다”고 호소했습니다.



이 위원장은 특히 이 후보가 김대중·노무현 정부 등 민주 정부의 전통을 계승할 적임자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남북정상회담 5번의 역사는 김 전 대통령 1번 노 전 대통령 1번, 문재인 대통령 3번으로 모두 민주당 정부에서 진행됐다”며 “평화와 안보를 모두 잡는 민주당과 이 후보를 지지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친인척 비리 농민 시위, 남북한 군사적 충돌이 없었던 최초의 정부라고 치켜세우며 친문 세력 결집을 겨냥하기도 했습니다. 아무래도 문재인 정부에서 총리를 지냈으니 현 정부의 업적을 옹호하면서 이 후보가 계승자라는 점을 부각하는 태도였습니다.

관련기사



이 위원장은 “종로 국회의원을 중도 하차해 약속을 못 지켰다는 생각에 여러분께 마음의 빚이 있다”며 종로 구민들에 대한 사과도 잊지 않았습니다. 이 위원장은 종로구 21대 국회의원으로 있었으나 대선 경선에 뛰어든 시기였던 지난해 9월 15일 일종의 배수진 효과를 내기 위해 사퇴한 바 있습니다.

정세균 “文이 법제화한 손실보상제, 李가 실현할 것”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상임고문이(가운데) 21일 종로 광장시장 앞에서 유세하고 있다. / 성채윤 기자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상임고문이(가운데) 21일 종로 광장시장 앞에서 유세하고 있다. / 성채윤 기자


이날 종로 광장시장을 찾은 정 전 총리는 “문재인 정부가 코로나19 시기 손실보상제를 법제화하는 등 나름 최선을 다했다”면서 “특히 손실보상제 법제화는 정부가 시혜적으로 지급하는 재난지원금과는 차원이 다르다”며 “국민이 직접 손실 보상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법제해 헌법 정신을 실현했다”고 치켜세웠습니다. 이어 “이 후보가 당선되면 (손실보상제에 따라) 국민이 입은 손실을 최대한 보상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 전 총리 역시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의 연장선상에서 이 후보를 지지한 셈입니다.

정 전 총리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4대강 자연성 회복 폐기’ 공약을 두고 “4대강 사업은 국가 예산을 낭비하고 환경을 파괴하는 등 적절하지 않은 사업이었다는게 이미 판명 났다”며 “그런데도 (해당 공약을 내세운 것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책을 승계하겠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표명한 거나 마찬가지”라고 꼬집었습니다. 또, 윤 후보의 사드 추가 배치 공약을 겨냥해선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책을 승계하겠다는 의미”라며 “국민들은 (이를)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윤 후보가 21일 목포·김해 유세에서 고(故)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정신을 언급하는 등 호남 세력으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이날 이 위원장도 여의도 당사에서 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야당은) ‘김대중 정신’을 말하기 전에 김 전 대통령을 몇 차례나 죽음의 고통으로 내몰고 김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방해한 과거부터 사과하는 게 우선이다”며 “‘노무현 정신’을 말하기 전에 노 전 대통령을 집요하게 조롱하고 퇴임 이후 죽음에 이르게 한 것부터 사과하는 게 도리에 맞는다고 믿는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정 전 총리는 종로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제가 8년 동안 종로에서 일하면서 많은 보람을 느꼈다"며 "다시 여기서 종로 구민 여러분께 인사 드릴 수 있게 돼 영광스럽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종로는 대통령도 만들고, 결심하면 변화도 만들어내는 그야말로 정치 1번가 아닙니까”라며 “기호 1번 이 후보를 대통령으로 뽑아주십시오”라고 호소했습니다. 19·20대 종로구 의원을 지낸 바 있는 정 전 총리의 호소가 정치 1번지 종로를 넘어 서울의 부동층에게도 파장을 일으킬지는 두고 봐야겠습니다.


성채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