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폐가스전을 탄소 저장고로”…SK E&S, 해외 탄소포집 프로젝트 착수

바유운단 가스전, CCS 플랜트 전환 위한 기본설계 시작

“저탄소 LNG 개발…글로벌 탄소중립 허브로 성장”

바유운단 가스전 전경. 사진제공=SK E&S바유운단 가스전 전경. 사진제공=SK E&S




SK E&S가 조만간 생산을 마치는 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고로 재활용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프로젝트의 첫발을 내딛는다. 그간 SK E&S가 강조해온 저탄소 액화천연가스(LNG) 시대를 향한 행보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SK E&S는 동티모르 해상에 위치한 바유운단 천연가스 생산설비를 CCS 플랜트로 전환하기 위한 FEED(기본설계)에 착수한다고 10일 밝혔다. 바유운단 가스전은 SK E&S(25%)와 호주 산토스 등 5개 글로벌 에너지 기업이 공동으로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 종료를 앞두고 있다.

관련기사



FEED는 프로젝트 적용기술의 타당성 검증 완료 후 최종투자결정(FID)에 들어가기 전 설비 전체에 대한 설계 및 투자비를 도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SK E&S와 4개 파트너사들은 그동안 함께 검토했던 탄소 포집 기술, 수송, 저장 전 과정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상세 설계 및 이에 따른 투자비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앞서 SK E&S는 2012년부터 개발에 참여해온 호주 바로사 가스전에 CCS기술을 적용해 저탄소 LNG를 생산하고, 2025년부터 20년동안 연평균 약 100만톤을 국내로 도입해 블루수소 생산 등에 사용한다는 계획을 지난해 3월 최종투자결정(FID)을 통해 밝힌 바 있다. 이번 바유운단 가스전의 CCS 플랜트 전환도 이를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바로사 가스전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는 호주 육상의 다윈 LNG 액화 플랜트로 운송되고, 다윈 LNG에 구축할 예정인 탄소 포집(CC) 설비를 통해 천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내게 된다. 포집된 CO2는 바유운단이 천연가스 운송을 위해 보유하고 있던 파이프라인을 통해 약 500km 떨어진 폐가스전으로 운송, 지하 약 3km에 위치한 사암층에 영구 지중 저장한다는 것이 이번 CCS 프로젝트의 큰 그림이다.

SK E&S 측은 “이 밖에 천연가스 액화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CO2에 대해서도 탄소배출권 구매 등을 통해 배출량 전량을 상쇄시킨다는 계획으로 궁극적으로 탄소중립 LNG를 국내로 들여올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