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중 갈등으로 번지는 우크라 사태…“中, 러에 군사 지원 신호”

설리번, 양제츠와 7시간 로마 회담서

"러시아 지원시 중대 결과 직면" 경고

中은 양안 문제 언급하며 美에 반발

"위험한 길에서 더 멀리 가지 말라"

바이든, 유럽 방문해 나토 동맹 과시할 듯

이탈리아 로마에서 14일(현지시간) 열린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의 회동 이후 중국 측 관계자가 회담장을 떠나고 있다. EPA연합뉴스이탈리아 로마에서 14일(현지시간) 열린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의 회동 이후 중국 측 관계자가 회담장을 떠나고 있다. EPA연합뉴스




중국이 미국의 강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 군사·경제적 지원을 할 의향이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주요 외신들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을 만나 “러시아를 지원하면 중대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또 다시 강하게 경고한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미중 갈등으로 빠르게 확전하는 모양새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이날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할 의향이 있다는 신호를 보냈으며 미국이 이러한 정보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과 아시아 몇몇 국가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한국도 미국으로부터 정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들에 따르면 러시아는 중국에 △지대공 미사일 △드론 △정보 수집 관련 장비 △장갑차 △물자 운송 차량 등 5개 군수 항목을 요청한 상태다. CNN은 "이 외에 장기보관이 가능한 전투식량(MRE)도 러시아의 요청 품목 중 하나”라며 “이는 러시아군의 전투 태세가 미흡한 수준이었음을 방증한다”고 해석했다.



이런 가운데 설리번 보좌관은 양 정치국원과 14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현안에 관해 7시간에 걸친 마라톤 회담을 갖고 중국의 러시아 지원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미 국무부는 설리번 보좌관이 “중국의 러시아에 대한 지원과, 그런 지원이 (미국 및 전 세계 파트너와) 중국의 관계에 미칠 영향을 직접적이고 매우 명백히 우려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우리가 전달한 것은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적 지원이나 제재를 위반하는 다른 지원을 할 경우 중대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중국은 대만 문제로 맞불을 놨다. 양 정치국원은 “중국은 최근 대만 문제와 관련된 미국의 잘못된 언행에 엄중한 우려와 결연한 반대를 표명한다”고 말했다고 관영 중앙(CC)TV가 보도했다. 양 정치국원은 대만 문제의 높은 민감성을 인정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엄수하라고 요구하면서 “매우 위험한 길에서 더 멀리 가지 말라”고 미국에 경고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국제사회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중국의 러시아 지원이 미중 갈등의 새로운 불씨로 부각되는 데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 조지타운대 중국 전문가 에반 메데이로스는 “중국이 러시아를 돕는다면 전세계 지정학에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1950년대 (냉전시대의) 중국·소련 동맹 시절로 회귀하고 우크라이나가 신냉전의 첫 대리충돌 지역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구도에서 미국과 유럽의 밀착도 가속화하고 있다. 미 NBC방송 등은 미 당국자들을 인용,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나토 본부가 있는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해 유럽 지도자들과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바이든 대통령의 첫 유럽 방문이 될 전망이다. 다른 당국자도 바이든 대통령이 24일 나토 본부를 방문한 뒤 유럽의 다른 지역을 방문하는 방안을 백악관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의 유럽 방문은 나토 동맹에 대한 미국의 지지 및 방어 의지를 천명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동유럽 나토 회원국인 폴란드와 루마니아를 방문해 우크라이나 피난민 대책, 우크라이나 지원방안 등에 대해 협의한 바 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