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스마트스쿨 운영…디지털 교육격차 줄인다

초교 8개·특수학교 2개 지원

IT기기·전용콘텐츠 제공 확대

경기 수원 연무초등학교 삼성 스마트스쿨에서 학생들이 갤러시 탭과 삼성 플립 등 정보기술(IT) 기기를 활용해 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경기 수원 연무초등학교 삼성 스마트스쿨에서 학생들이 갤러시 탭과 삼성 플립 등 정보기술(IT) 기기를 활용해 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디지털 교육 환경 구축이 필요한 초등학교 8개, 특수학교 2개 등 총 10개 학교에 ‘2022 삼성 스마트스쿨’을 본격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관련기사



지난 2012년에 시작된 ‘삼성 스마트스쿨’은 도서 산간 등 교육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의 학교에 삼성전자의 정보기술(IT) 기기와 특화된 학습 솔루션·콘텐츠, 교사 연수 등을 지원해 디지털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청소년들의 미래 역량을 향상시키는 CSR 프로그램이다.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전국 98개 학교, 193개 교실에 스마트스쿨을 구축했다.

‘2022 삼성 스마트스쿨’은 삼성전자 IT 기기 지원을 확대하고 솔루션·콘텐츠·교육 등 전 분야의 프로그램도 개편했다. 먼저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원활한 소통과 다양한 학습 콘텐츠 활용을 필요로 하는 교육 현장의 요구에 맞춰 스마트스쿨 교실을 기존 학교당 1개에서 2개로 늘리고 IT 기기 지원도 확대했다. 스마트스쿨 교실에는 △강의식 수업을 탈피해 그룹형 프로젝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삼성 플립’ 3대 △‘갤럭시 크롬북’ △‘갤럭시 탭’이 구비된다.

나기홍 삼성전자 사회공헌단장 부사장은 “‘삼성 스마트스쿨’을 통해 학생들이 지역과 환경의 제약 없이 공평하고 우수한 교육을 받아 창의적, 융합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미래 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