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들어가면 뭐라하는 사람 없어 편해…하지만 국민 감시 받기위해 나와야"…측근이 전한 尹의 진심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있다./권욱 기자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있다./권욱 기자




“개인적으로는 청와대 들어가서 편안하게 하고 싶다. 거기 들어가면 얼마나 좋으냐. 눈치 안 보고 내 마음대로 누가 뭐라 하는 사람 없고 나도 그러고 싶다. 하지만 국민을 위한다면 나와야 한다”



“내가 불편한 것은 참을 수 있지만 국민께 한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나는 감수할 수 없다.”


윤석열 당선인의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팀에 소속된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지난 21일 오후 TBS 라디오 ‘신장식의 신장개업’에 출연해 전한 윤 당선인의 진심이다. 윤 당선인이 일부 여론의 반발과 문재인 정부와 대립각까지 세우면서 취임 이전 집무실 이전을 추진 하는 배경은 국민과 소통하기 위해 청와대를 나오겠다는‘공약 이행’의 강한 의지 때문이라는 것.

관련기사



김 본 부장은 윤 당선인이 ‘청와대 입주는 불통’이라는 원칙으로 국방부 이전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는 윤 당선인이 “내가 불편한 것은 참을 수 있지만 국민께 한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나는 감수할 수 없다”고 했다며 “윤 당선인이 한 회의에서 ‘나도 청와대에 들어가서 편안하게 하고 싶지만 국민을 위하고 국가를 위한다면 내가 불편하더라도 나와야 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김 전 본부장은 집무실 이전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비협조를 강하게 질타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NSC를 소집해서 안보 공백을 이유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대한 예산 편성을 거부했지 않느냐”며 “새 정부가 출범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권이 정말 안보 공백을 우려한다면 적극 협조해야 한다”며 “조치가 될 때까지 두세 달 정도 통의동에서 제대로 된 경호도 못 받고 집무를 해야 하는데, 국가 안보에 가장 기본은 대통령에 대한 신변 안전이 아니냐”고 물었다.

김 전 본부장은 대선 기간부터 ‘용산 시대’를 검토하고 있었냐는 질문에는 집무실 이전 대상지로 "광화문 이외 전쟁기념관, 국립외교원, 연합사 부지, 국립민속박물관, 국방부 등 대여섯군데를 추가로 검토했다"면서 "문제는 국민과의 약속이었던 5월 10일 취임과 동시에 갈 수 있는 곳이 국방부 청사였다"고 답했다.

김 전 본부장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군 연쇄 이동에 대해서도 “합참 청사는 전시작전권이 전환되면 연합사가 들어오는 것을 가정해서 1.5~1.6배 정도 크게 지었다”며 “합참 청사에 공백이 있고, 국방부가 들어가서 같이 있으면서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저희들은 판단한 것이지 없는 데 비집고 들어가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나중에 합참 청사를 이전하려면 건물을 만들어야 하는데, 만들어지면 (합참을) 이전하는 것”이라며 “합참은 (남태령 수도방위사령부로) 옮길 때까지 국방부와 함께 임무 수행을 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김 전 본부장은 "현 정부의 가장 중요한 업무는 원활한 정권 인계"라며 "있지도 않은 안보 공백을 언급하면서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을 방해하는 행위는 대선 불복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