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우크라 엎친데 기후위기 덮쳐…밀값 더 오른다

최대수입처 美 가뭄에 수급 악화

빵집·칼국숫집 등 자영업자 비상

물가 자극도 우려…"안정책 필요"

우크라이나의 밀밭 모습. 로이터연합뉴스우크라이나의 밀밭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국제 밀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만이 아니다. 이상기후에 따른 작황 악화마저 겹치면서 설상가상인 상황이다. 특히 국내 밀 주 수입처인 미국에서 가뭄으로 밀 생산에 비상이 걸려 밥상 물가를 자극할 것이라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4일 식품 업계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가루 등 원자재 가격이 고공 행진하면서 동네 빵집·칼국숫집·만둣국집 등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심각하다. 세계 밀 수출량의 약 29%를 차지하는 양국이 밀 수출을 제한한 탓이다. 러시아는 세계 최대 밀 수출국이고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빵 바구니’로 불린다. 밀 가격 상승의 여파는 국내 식품 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게 그대로 미치고 있다. 이날 권영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도 “최근 밀가루 가격이 30% 가까이 올랐다”며 “범부처 차원의 대책이 급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전쟁이 끝나도 밀값 전망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이상기후로 밀 생산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수급 여건 악화로 올해 밀값이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밀값은 전쟁 전부터 오름세였다. 밀값 상승 폭은 2019년 6.75%에서 2020년 13.48%, 2021년 22.07%로 점점 커졌다. 수입 단가도 뛰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밀 수입 단가는 톤당 320달러로 평년(280달러) 수준보다 높다. 밀을 주로 수입하는 미국과 호주 등의 작황이 좋지 않은 게 더 문제다. 지난달 미국 최대 밀 생산지인 캔자스주의 경우 가뭄이 덮쳤다. 미 농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13일 기준 캔자스산 밀 중 23%만이 ‘양호한 상태’로 분류됐다. 전년 동기 대비 15%포인트 적다.
특히 국내 밥상 물가는 밀값에 극히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의 밀 자급률이 0.8%(2020년 농촌진흥청 기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반면 밀 소비량은 늘고 있다. 제분협회에 따르면 1인당 밀가루 소비량은 2011년 32.8㎏에서 2015년 33.7㎏, 2019년 34.2㎏으로 불어났다. 한 농업정책 연구원은 “밀을 다량으로 구입하는 대기업보다 소규모 업체의 피해가 더 클 것”이라며 “이들을 집중 지원할 수급 안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