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차 학살, 우크라가 꾸민 짓" 대놓고 러 편드는 中

中, 러시아발 가짜뉴스 보도↑

美 정부, 중국의 러시아 선전전 협력 중단 요구에도

안보 전문가 "중국 허위정보 전파 더 늘어"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일인 지난 2월 4일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에서 자국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진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일인 지난 2월 4일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에서 자국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진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최근 우크라이나 부차에서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러시아군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이 보다 적극적인 러시아 지키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1일(현지시간) 중국이 외교관·관영 매체 등을 앞세워 러시아발 가짜뉴스를 전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상하이 한 관영 TV는 부차 학살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가 꾸며낸 것이라면서 “법정에서라면 받아들여질 수 없는 엉터리 증거”라고 전했다.



앞서 러시아 국영방송 RT·스푸트니크 통신사 등은 가짜뉴스의 진원지로 지목되며 서방 국가에서 퇴출당했다. 중국 관영매체는 이들 러시아 매체를 인용한 보도를 늘려 우크라이나 침공과 부차 대학살 등에 대한 러시아 측의 주장을 전하고 있다.

관련기사



문제는 이 같은 중국의 가짜뉴스 전파 행위가 중국에서뿐 아니라 국제사회로 퍼져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NYT는 중동이나 아프리카, 남미 등 미국과 관련한 각종 음모론이 성행하는 일부 지역의 경우 러시아발 가짜뉴스가 뿌리내릴 토양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러시아의 선전전에 중국이 협력하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10일 중국이 ‘우크라이나가 생화학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러시아발 음모론을 반복하자 허위정보 전파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중국을 향한 미국의 경고가 별다른 효력을 내지 못하는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미국 ‘민주주의 안보 연대’(ASD)의 브레트 새퍼 선임 연구원은 중국의 러시아발 가짜뉴스 전달 배경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는 오랫동안 서방에 대한 불신과 적개심을 공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경고는 먹히지 않고 있다”며 “오히려 중국은 허위정보 전파를 강화했다”고 지적했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