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해양 신기술 사업화 주도…"세계 최고 해상물류 구축"

■ 조승환 해수부 장관 후보

통일원·총리실·해수부 두루거쳐

'해운법 개정안' 통과가 첫 과제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조승환(56·사진)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정통 관료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장을 지낸 해양 수산 전문가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공약인 ‘신해양 강국 재도약’을 구현해낼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조 후보자는 1966년 부산 출생으로 부산 대동고와 고려대 법대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34회로 통일원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국무총리 정부비서관실과 의전비서관실에서 일했다. 2003년 해수부 연안계획과장으로 부임하며 해양 관련 이력을 본격적으로 쌓았다.



해수부에서는 국제기획관실 물류제도팀장, 해사안전국 국장, 해양정책실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인천해양청 인천항건설사무소장과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으로 일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대통령실 선임행정관, 주영국 대사관 공사참사관 등을 지냈으며 당시 정무 감각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8년부터 3년간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당시 해양 수산 관련 신기술의 사업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조 후보자는 지명 직후 소감문을 통해 “해양수산부 장관이 된다면 세계 최고 수준의 해상 물류 체계를 구축하고 수산업과 어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직접 현장을 찾아 해양 수산인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현안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의 취임 후 첫 과제는 ‘해운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법안은 해운 업체의 공동행위 관련 규제 권한을 공정거래위원회가 아닌 해수부가 갖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공정위는 올 초 국내외 23개 선사가 동남아시아 수출입 항로에서 운임을 담합했다며 총 962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조 후보자는 이와 관련해 “해운 산업은 우리 해운사들만의 경쟁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국제 해운사와 경쟁해야 한다”며 “이 같은 차원에서 봤을 때 해운 업체 담합은 적절한 해결책을 마련해가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약력 △1966년 부산 △부산 대동고 △고려대 법대 △행정고시 34회 △해양수산부 연안계획과장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 국장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청장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원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비상임이사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