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코로나이후 신체활동 줄고 우울감·스트레스 늘었다”

질병청 "완치후 후유증 치료 중요"

표 제공=질병관리청표 제공=질병관리청





코로나19 유행 이후 주기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은 줄고 스트레스나 우울감을 겪는 사람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코로나19에 걸린 후 완치되더라도 장기간 호흡기·소화기 증상 및 만성피로가 나타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관련기사



질병관리청은 27일 2019∼2021년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사회 건강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신체 활동과 정신 건강 지표 등이 코로나19 유행 기간에 악화했다고 밝혔다.

최근 1주일 동안 1일 20분 넘게 주 3일 이상 격렬한 신체 활동을 했다고 응답한 중등도 이상 신체 활동 실천율은 2019년 24.7%에서 2020년 19.8%로 크게 감소했고, 2021년에는 19.7%로 다시 소폭 줄었다. 최근 1년 동안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을 느낀 우울감 경험률은 3년간 5.5%→5.7%→6.7%로 상승해 2년 새 1.2%포인트 늘었고, 스트레스 인지율도 25.2%→26.2%→26.2%로 상승 추세다. 비만·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은 2018년 각각 31.8%과 19.4%에서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31.3%, 19.2%로 개선됐다가 2021년 32.2%, 20%로 다시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완치되더라도 3개월간 호흡기 증상과 소화기 이상, 만성피로 등 후유증이 뒤따르고 그후에는 우울, 불안, 인지 기능 저하가 올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영희 명지병원 신경과 교수는 ‘코로나19 후유증 임상 심포지엄’에서 “고령층 환자의 섬망 증상과 인지 저하 증상은 2∼3개월 이후까지도 나타난다”며 “젊은 층에서 나타나는 멍한 증상도 우울·불안·피로 등과 연관이 있어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권한다”고 말했다. 이재혁 심장내과 교수는 특히 “코로나19 중증 환자의 25%에서 심근 손상이 보고됐다”며 “고위험군이 후유증으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반드시 심전도·심초음파 등의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해나 기자·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