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식 인상'에 반발한 서울대 학생들, 5대 요구안 제시

식사 질 개선 및 저가 메뉴 확충 등 5대 요구사항 제시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비서공)이 27일 제시한 요구안 일부. 서울대 제공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비서공)이 27일 제시한 요구안 일부. 서울대 제공




최근 밥값 인상에 불거진 ‘학식 논란’과 관련해 서울대 학생과 학내 노동조합이 요구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27일 서울대 학생들과 학내 노동조합 등 18개 학내 단체들로 구성된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이하 비서공)’은 이날 식사질 개선을 위한 5대 요구안을 제시했다. △식사 질 개선 및 저가 메뉴 확충 △세트 메뉴에 대한 대학의 가격 보조 정책 실시 △임대료 영구 전액 면제 등 생협 재정지원 확대 △인력 충원을 통한 식당 운영 개선 △생협 학생식당의 대학 직영화 등이다.

관련기사



비서공은 요구안을 통해 “아무리 물가가 높아지고 있다 하더라도 학식은 대학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는 구성원들에게 필수적인 복지”라며 “기본적 후생복지의 가격 상승과 질 하락은 학생들의 생활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속에서 생협 재정이 어려워졌다고 하더라도 대학은 그러한 비용 부담을 대학 구성원에게 전가하지 않고 기본적 복지를 보장해야할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대가 이달 초 학식 가격을 1000원씩 인상한 것을 두고 학생들은 거세게 반발했다. 서울대 학생들이 이용하는 ‘에브리타임’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학식 사진을 게시하며 불만을 표하는 학생들이 쏟아졌고 동의하는 댓글도 많았다. 실제 서울대 총학생회가 지난 15~19일 학생 12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학식 가격 인상 이후 학식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에 서울대 본부 측은 1000~5000원 수준의 중간 가격대 메뉴를 제공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밀키트(간편조리식품)’이나 도시락 자판기들도 대안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