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사람 뼈까지 태워버린다…러軍, 돈바스에 쏜 '죽음의 불꽃'

러시아軍, 우크라에 '테르밋 소이탄' 투하 의혹

연소 때 2500도까지 올라…금지된 살상무기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서 화상,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치명적 무기인 소이탄 투하 의혹이 제기됐다. 트위터 캡처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서 화상,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치명적 무기인 소이탄 투하 의혹이 제기됐다. 트위터 캡처




러시아군이 아조우스탈 제철소 점령을 위해 백린탄을 사용한 데 이어, 최근 돈바스 지역에서는 화상,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해 인체에 치명적인 무기로 알려진 테르밋 소이탄을 투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백린탄과 소이탄은 모두 대량 살상 및 비인도적 무기로 분류돼 사용이 금지됐다.

우크라이나 소식을 전하는 기자 이완 맥도날드는 지난 27일(현지 시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돈바스 주방위군이 촬영한 것으로 알려진 영상을 공유했다. 해당 영상에는 밤하늘에 탄약들이 밝게 타오르며 비처럼 쏟아지는 모습이 담겼다. 맥도날드는 이를 근거로 러시아가 9M22S 소이로켓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군은 가장 야만적이고 잔혹한 러시아군의 무기와 맞서고 있다”며 “이에 대항할 무기를 빨리 공급해야 한다”고 했다.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서 화상,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치명적 무기인 소이탄 투하 의혹이 제기됐다. 트위터 캡처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서 화상,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치명적 무기인 소이탄 투하 의혹이 제기됐다. 트위터 캡처



일리아 포노마렌코 키이우 인디펜던트 기자도 트위터에 “러시아가 테르밋 소이탄을 사용했다”며 “소이탄이 떨어지는 전장에서 전선을 지키고 있다고 상상해 봐라”라고 적었다.

관련기사



소이탄은 시가지, 밀림, 군사시설 등을 파괴하거나 무력화시킬 때 사용하는 폭탄이다. 충전물에 따라 테르밋 소이탄, 황린 소이탄, 유지 소이탄 등으로 나뉜다. 테르밋은 알루미늄과 산화철의 혼합물로 일상에선 강철 등을 용접할 때 쓰인다. 연소 시에는 섭씨 2500도까지 올라간다. 테르밋 소이탄 고열에 노출되면 콘크리트와 강철까지 타버리고, 인체에 닿으면 뼈와 살이 녹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이탄은 1980년 10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채택된 특정재래식무기 협약에 따라 사용이 금지된 바 있다.

지난 14일에도 러시아군은 마리우폴의 아조우스탈 제철소에 백린탄을 사용해 공격을 지속했다. 트위터 캡처지난 14일에도 러시아군은 마리우폴의 아조우스탈 제철소에 백린탄을 사용해 공격을 지속했다. 트위터 캡처


앞서 러시아군은 지난 16일에도 우크라이나 남부 마리우폴의 아조우스탈 제철소를 장악하기 위해 백린탄을 투하했다. 항전하던 우크라이나군은 백린탄 폭격 하루 만에 사실상 항복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