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흔들리는 가세연…김세의 "강용석 측이 뒤통수 쳤다…난 단일화 추진"

김은혜 낙선 원인 '강용석과 단일화 실패' 지적에

김세의 "비밀리에 김은혜·강용석 단일화 추진했다"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 관계자인 강용석(왼쪽) 경기지사 후보와 김세의 대표. 연합뉴스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 관계자인 강용석(왼쪽) 경기지사 후보와 김세의 대표. 연합뉴스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단 8000여표차로 낙선한 원인 중 하나가 ‘강용석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 실패’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의 김세의 대표는 “저는 무조건 단일화를 추진했던 사람"이라고 반박했다. 단일화를 놓고 공방이 계속 되고 있다.



김세의 대표는 2일 오전 가세연 유튜브 채널 공지를 통해 “정말 죄송합니다. 저라도 사죄의 말씀을 올려야 할 것 같습니다”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려 이처럼 밝혔다.

김 대표는 “이번에 김은혜 캠프에서 굉장히 중요한 위치에 있는 분과 단일화 협상을 진행했다”며 “이 분은 무조건 이준석 대표가 모르게 단일화를 진행해야 한다, 이 대표는 강 후보와 단일화를 반대하기 때문에 비밀리에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하셨다. 김은혜 캠프가 이 대표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현실이 참담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나는 강용석의 명예회복 이외에는 어떠한 조건도 제시하지 않고, 무조건적인 단일화를 추진했다”며 “하지만 강용석 캠프 핵심관계자들이 무조건적인 단일화에 반대했다. 강용석 캠프 핵심관계자들이 이렇게 몰래 저의 뒤통수를 칠 줄은 상상도 못 했다”고 말했다.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단 8000여표차로 낙선한 원인 중 하나가 ‘강용석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 실패’라는 주장에 김세의 유튜브채널 가로세로연구소 대표는 “저는 무조건 단일화를 추진했던 사람경기도지사 선거에서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단 8000여표차로 낙선한 원인 중 하나가 ‘강용석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 실패’라는 주장에 김세의 유튜브채널 가로세로연구소 대표는 “저는 무조건 단일화를 추진했던 사람"이라고 반박했다. 유튜브 캡처



아울러 “그 결정타가 바로 지난달 23일에 있었던 SBS TV토론”이라며 “당시 나와 가세연은 김동연 당선인 관련 의혹을 폭로하려 사진 패널까지 만들었는데, 갑자기 우리가 만들지 않은 사진 패널을 강용석 캠프에서 따로 준비했다. 그게 바로 다봉타워 사진”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앞서 강용석 후보는 지난달 25일 하남 스타필드 유세 현장 등에서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해당 건물과 관련 “김은혜 후보 남편이 4분의 1을 갖고 있는데 2000억 원짜리 건물을 150억 원이라고 신고했다”고 비판해왔다.

김세의 대표는 “고민 끝에 큰 결심을 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10시 26분, 계속 단일화 협상을 진행했던 김은혜 캠프 핵심 관계자에게 전화했다. ‘내일 김은혜 후보 유세차에 올라 직접 지지연설을 하겠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김은혜 캠프 핵심 관계자는 매우 기뻐하면서 (김은혜 후보에게) 바로 내용을 전달하겠다 했는데, 31일 오전 11시 15분께 전화가 와 ‘그럴 수 없다’고 전해왔다”고 했다.

김 대표의 주장에 따르면, 김은혜 캠프 핵심 관계자는 김 대표에게 “김은혜 후보는 기쁘게 찬성했지만, 국민의힘에서 유세 일정 짜는 담당자가 김세의 대표에게 유세 시간을 줄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연설하면 사실상 단일화 효과나 마찬가지인데 참으로 죄송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봉타워 사건을 강 후보에게 부추긴 인물, 누구일지 짐작이 간다”며 “국민의힘에도 자기 밥그릇 챙기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무엇보다도 이준석 대표 몰래 단일화 협상이 이뤄지는 과정에서부터 문제가 시작됐다. 열심히 싸웠지만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김동연 경기지사 당선인은 49.06%(282만7593표)로 48.91%(281만8680표)를 기록한 김 후보보다 8913표 앞서며 접전 끝에 승리했다. 반면 강 후보는 0.95%(5만4758표)를 기록해 씁쓸한 고배를 마셨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