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미일 등 17개국 장관 "공급망 투명성 높이고 다변화해야"

美 국무·상무장관 주최로 EU, 호주 등 주요 장관 참석

박진, 요소수 사태 이후 구축한 조기경보시스템 소개해

17개국, 공동선언문 발표… "위험 대비·지속가능 활동 펼쳐야"

박진 외교부 장관이 20일 서울 김포공항에서 방일 출장 성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박진 외교부 장관이 20일 서울 김포공항에서 방일 출장 성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박진 외교부 장관이 20일 글로벌 공급망 장관회의에서 “정부가 공급망 다변화와 식량·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일본 등 17개국 장관은 이날 공급망 투명성을 촉진하고 공급원을 다변화하는 등의 공동선언문도 내놓았다.

관련기사



외교부는 박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이날 화상회의에 참석해 글로벌 공급망 회복력 제고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지나 러몬드 미국 상무장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캐나다, 멕시코, 호주, 싱가포르,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DR콩고 등 17개국 장관이 참여했다.

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요소수 사태 이후 공급 교란에 대응하기 위해 구축한 한국의 조기경보 시스템을 소개했다. 또 주요 20개국(G20), 핵심광물 안보파트너십(MSP),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등 다양한 차원에서 주요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도 밝혔다. 안 본부장은 공급망과 관련 국제사회의 협력 중요성을 강조했고, 우리 정부가 다양한 국가와 반도체·배터리 등 공급망 안정을 위해 노력해왔음을 소개했다. 또 “중장기적으로 ‘저스트 인 타임(Just-in-Time)’으로 대변하는 효율성과 ‘저스트 인 케이스(Just-in-Case)‘로 대변하는 안정성 간 균형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 회복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7개국 장관은 이날 글로벌 공급망 협력 공동선언문도 발표했다. 이번 선언문은 팬데믹과 전쟁, 기후변화 등 글로벌 충격으로 인한 공급망 강화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작성했다. 17개국 장관은 선언문에서 민간·시민사회·정부 등 이해관계자와 협의를 통해 공급망 투명성을 촉진하고, 원자재·중간재·완제품에 대해 신뢰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공급원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또 핵심 인프라 관련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협의를 심화하고 공급망 전반에 있어 지속가능성과 책임 있는 기업활동, 파리협약 등 다자 환경합의 상 목표를 위해 진전된 노력을 하자는 데 합의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