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故이호왕 교수, 현충원 안장

[국가보훈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국가보훈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 병원체를 발견한 고(故) 이호왕(사진) 고려대 명예교수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국가보훈처는 4일 열린 국립묘지 안장대상심의위원회에서 이 교수를 국립묘지 안장 대상으로 결정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달 5일 별세한 이 교수는 에이즈·말라리아와 함께 세계 3대 전염성 질환으로 알려진 유행성출혈열의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를 최초로 발견했다. 또 이 병원체들이 포함되는 새로운 속(屬)인 한타바이러스를 1980년 제정했다. 이는 한국인이 발견한 최초의 병원 미생물로 이 연구 업적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현재 의학·생물학 교과서에 수록돼 있다.

이 교수는 1989년 유행성출혈열 진단법과 1990년 예방 백신(한타박스)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치사율 7%인 이 병을 신속하게 진단, 예방하는 길을 열었다. 한타박스는 한국 신약 개발 1호로 한 과학자가 병원체 발견 및 진단법을 찾아내고 예방 백신까지 만든 것 역시 세계 최초 사례다. 이 교수는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사회공헌자' 자격으로 현충원에 안장된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