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반도체 매출 증가율 6개월째 하락…투자 철회도 고려

[경기침체 동시다발 신호 켜졌나]

6월 13%대 그쳐 시장 약세 지속

2018년 미중 무역전쟁 후 최장


글로벌 경기 둔화로 반도체 시장이 냉각되면서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증가율이 6개월 연속 감소했다고 4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에 따르면 6월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50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했다. 지난해 12월의 반도체 매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8.3%를 기록했으나 올 1월 26.8%로 줄었고 이후 2월 26.2%, 3월 23%, 4월 21.1%, 5월 18%로 꾸준히 하락하는 등 6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전월 대비 증가율은 -1.9%로 집계됐다. 존 뉴퍼 SIA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몇 달 동안 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다소 둔화됐다” “월별 매출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15%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21년 2월 이후 처음”이라고 말했다.

사진 설명사진 설명






올 들어 반도체 시장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된 것은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신은 "최근의 반도체 매출 약세는 세계적인 불황에 대한 우려로 삼성전자 같은 반도체 제조 업체들이 투자 계획 철회를 고려하는 가운데 나타났다"며 "현재의 둔화는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최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정책 등으로 반도체 판매가 냉각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지역별로는 중국에서의 둔화가 눈에 띄었다.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집하는 가운데 봉쇄가 계속되면서 생산 활동이 제약을 받았고 그 결과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0.4%에 그칠 정도로 경제성장 속도가 급격히 꺾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주 지역의 6월 반도체 매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9.0%를 기록했으며 일본(16.1%)과 유럽(12.4%)도 두 자릿수를 나타냈지만 중국은 4.7%에 그쳤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