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량이 많아지는 휴가철 여파 등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빨라지며 정부가 내놓은 정점 예측치가 빗나갔다. 특히 소아청소년 환자가 신규 확진자의 20%에 육박하면서 이들 연령대에 특화된 대응체계를 하루빨리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와 대한소아감염학회는 10일 입장문을 통해 "전파율이 높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에 맞서 소아청소년의 건강을 보장하려면 의료 대응체계를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올해 초 오미크론 변이가 크게 유행하면서 지난 3일 0시 기준 19세 이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총 497만 5813명으로, 해당 연령대 인구의 58.6%까지 치솟았다. 이 기간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수는 41명이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직후인 2020년 1월부터 올해 3월 2일까지 19세 이하 사망자는 6명에 그쳤지만, 5개월만에 35명의 사망자가 추가로 발생했다. 코로나19 재유행에 접어든 최근에는 신규 확진자의 15~20%가 소아청소년일 정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실정이다.
학회는 “기저 질환이 있는 일부 소아 환자의 경우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전에 건강했던 소아청소년 중에서도 폐렴과 크룹, 세기관지염, 열성경련 등 성인과는 다른 경과를 보이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중증 환자 급증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스로 증상을 호소하기 어렵고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소아청소년 환자의 특성을 고려해 소아 감염 전문의와 보건당국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전공의 부족으로 소아청소년 응급실과 중증 환자 병상의 정상적인 가동이 어려운 지방 병원의 경우 소아청소년 환자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 의료인력과 진료 가능 병상 현황 파악이 시급하다고 봤다.
학회는 “소아청소년 코로나19 환자 대상의 재택치료와 외래 기반 진료를 활성화하고,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의료진과 보건당국 사이에 긴밀한 협조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재택치료 또는 외래 기반 진료 중 갑자기 악화 소견이 발생하는 중증 환자의 경우 빠르게 응급실이나 2·3차 기관으로 이송을 연계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조정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역의 1차 의료를 담당하는 소아청소년과 의사들도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보험 정책, 비용 지원 및 보상 등의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게 보완돼야 한다고도 요구했다.
또한 코로나19 소아청소년 확진자가 급증하더라도 비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조치가 지연되지 않도록 필수의료 체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는 게 이들 단체의 지적이다.
학회는 "코로나19로 인한 격리 또는 병상 부족을 이유로 적기에 의학적 조치가 필요한 신생아 출생, 수술, 기타 질환 등에 대한 조치가 지연되거나 멀리 이동하는 사태가 벌어져서는 안된다"며 "유연한 병상 전환과 인력 배치가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5만1792명으로 집계돼 지난 4월 13일(19만 5387명) 이후 119일 만에 가장 많이 나왔다. 위중증 환자 수는 402명으로 지난 5월 9일(421명) 이후 93일 만에 400명대로 올라섰다. 사망자는 50명이 나와 80일 만에 50명대를 넘겼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빨라졌다며 이달 초 15만 명으로 내렸던 정점 예측치를 20만 명으로 재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