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NDC 대수술…원전 비중 33%로 수직 상승, 신재생은 21.5%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 실무안 공개

2030년 원전 32.8%·신재생 21.5%·석탄 21.2%

NDC 상향안 대비 원전 8.9%P↑ 신재생 8.7%P↓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22일 오전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를 방문해 신한울 3·4호기 원자로와 증기발생기용 주단소재 보관장에서 한국형원전 APR1400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22일 오전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를 방문해 신한울 3·4호기 원자로와 증기발생기용 주단소재 보관장에서 한국형원전 APR1400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2030년 에너지 믹스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32.8%로 수직 상승한다. 지난해 발표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에서 제시됐던 23.9%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대신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NDC 상향안의 30.2%에서 21.5%로 줄어든다. 다만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7.5%에 비해서는 세배 가까이 늘어난다.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분과위원회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10차 전기본 실무안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공개했다. 이번 10차 전기본에 따르면 2030년 전원별 발전량에서 원전은 201.7TWh을 맡아 전체의 32.8%를 차지한다. 지난해 10월 발표한 2030 NDC 상향안에서 제시됐던 146.4TWh, 23.9%보다 55.3TWh, 8.9%포인트 늘어나는 셈이다.

총괄분과위원회 위원장인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는 이날 브리핑에서 “원전은 운영허가 만료 설비의 계속운전과 신고리 5·6호기, 신한울 1~4호기의 건설 완료로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2036년까지 12기(10.5GW) 원전의 계속운전을 추진하고 6기(8.4GW)는 건설 완료해 에너지 안보 및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대신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이 132.3TWh, 21.5%로 2030 NDC 상향안의 185.2TWh, 30.2%에서 8.7%포인트 감소한다. 다만 지난 2020년 말 발표한 9차 전기본의 20.8%보다는 비중이 늘어났다. 유 교수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실현 가능성, 주민수용성 등을 고려해 합리적인 보급목표를 재정립하고 2036년까지 107.4GW 설비를 확보해 원전과 함께 에너지 안보 및 탈탄소 전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탄소 배출의 주 원인으로 꼽혔던 석탄 발전은 계속해서 줄어든다. 10차 전기본에서 2030년 석탄 비중은 21.2%로 NDC 상향안의 21.8%, 9차 전기본의 29.9%보다 비중이 줄었다. 2036년까지 가동 후 30이 넘는 26기를 폐지해 LNG 발전기로 전환해 온실가스 감축에 힘을 보탠다는 전망이다. 최근 가격이 급등한 액화천연가스(LNG)가 차지하는 비중은 20.9%로 9차 전기본(23.3%), NDC 상향안(19.5%)와 유사한 수준이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NDC 상향안을 발표하며 탄소감축 목표치를 26.3%에서 40%로 대폭 상향한 바 있다.

10차 전기본에서 예상한 2030년 에너지 믹스 중 무탄소 전원인 신재생·원전 등의 발전 비중 총 합은 56.6%로 지난해 발표한 NDC 상향안의 57.7%와 큰 차이가 없다. 이에 따라 지난해 NDC 상향안에서 제시한 전환 부문 온실가스 배출목표 달성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총괄분과위원회는 내다봤다. 유 교수는 “전환 부문 온실가스 감축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석탄발전 제약운전으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차질없이 달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10차 전기본은 2036년 최대전력 수요를 117.3GW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2036년까지 목표설비를 설비예비율 22%를 더해 143.1GW 확보해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늘어나는 원전과 신재생 설비를 적기 수용하기 위해 계통망 보강을 추진하며 시장원리에 기반한 가격기능이 작동하도록 수요측도 입찰하는 양방향 입찰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PPA가 가능한 규모 및 용도 제한을 완화하는 등 PPA 허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전력시장·요금 및 규제 거버넌스의 독립성, 전문성을 강화해 전력시장의 시장경쟁 여건을 조성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통과한 실무안을 기반으로 환경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 관계부처 협의, 정부초안 마련, 국회 상임위 보고 등의 절차를 거쳐 10차 전기본을 확정한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