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태풍 '힌남노' 제주 500㎞ 앞…국내 상륙 태풍 중 가장 강해

6일 아침 경남남해안 상륙…오전 6시 부산 서남서쪽 90㎞ 해상 도착

제주·남해안 시속 145~215㎞ 바람…전국에 100~300㎜ 비

5일 오전 7시 힌남노 예상경로. 기상청 제공5일 오전 7시 힌남노 예상경로. 기상청 제공




천리안위성 2A호가 5일 오전 7시 20분 촬영한 제11호 태풍 힌남노. 국가기상위성센터 제공.천리안위성 2A호가 5일 오전 7시 20분 촬영한 제11호 태풍 힌남노. 국가기상위성센터 제공.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북상을 이어가고 있다. 5일 오전 6시 기준 제주에서 500㎞, 부산에서 780㎞ 거리에 위치한 힌남노는 ‘매우 강’ 상태로 한반도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힌남노는 5일 오전 6시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80㎞ 해상을 지났다. 태풍 중심과 국내 지점과 거리는 제주 500㎞, 경남 통영시 710㎞, 부산 780㎞, 경북 포항시 870㎞, 울릉도 1080㎞다. 시속 21㎞로 북상하는 힌남노는 5일 정오 서귀포시 남남서쪽 370㎞ 해상에 이른 뒤 우리나라로 방향을 틀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현재 힌남노의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35hPa과 49㎧로, 강도는 '매우 강'이다. 태풍 강도는 일반적으로 '중-강-매우 강-초강력'으로 나뉜다. 강도를 표기하지 않는 태풍은 2019년 3월 29일 전까진 강도를 '약'으로 표기했던 태풍인 경우다. 태풍 강도 분류에서 '약'이 사라진 것은 '약한 태풍'은 없다는 취지에서다.

힌남노는 6일 0시 서귀포 남쪽 30㎞ 해상까지 '매우 강한 태풍'으로 위력을 유지하면서 북동진하고 오전 6시 부산 서남서쪽 90㎞ 해상을 통과한 뒤 경남 남해안에 상륙한다. 이때 힌남노 중심기압은 각각 940hPa과 950hPa로 예측된다. 국내에 상륙한 태풍 중 가장 위력이 강력하다.

5~6일 전국 대부분 지역이 힌남노 영향권에 들겠다. 제주·전남남해안·경남해안·울릉도·독도에는 최대순간풍속이 40~60㎧(시속 145~215㎞) 내외인 초강풍이 불겠다. 제주 한라산 삼각봉엔 5일 오전 5시 22분 순간풍속이 34.5㎧(시속 124㎞)에 달했다. 강원영동·경북동해안·전남서해안은 5~6일 최대순간풍속이 30~40㎧(시속 110~145㎞) 안팎, 남부지방(해안 제외)·충청·강원영서남부는 20~30㎧(시속 70~110㎞) 안팎, 수도권·경원영서중부·강원영서북부는 15~20㎧(시속 50~70㎞) 안팎이겠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도 내린다. 제주 일부 산지에는 5일 7시 10분까지 7시간에만 150㎜ 내외 비가 쏟아졌다. 1일부터 제주와 남해안에 내린 누적 강수량은 대부분 100㎜가 넘으며 산지는 500㎜가 넘는다. 4일 0시부터 5일 오전 6시 10분까지 강수량은 경기 포천시(영북) 87㎜, 인천 강화군(교동) 60㎜, 경기 동두천시(하봉암)와 연천군(신서) 59.5㎜와 58㎜, 강원 화천군(광덕산) 94.5㎜, 철원군 83.3㎜, 양구군(해안) 64.5㎜다.

다만 기상청은 5~6일 추가로 전국에 100~300㎜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주산지에는 600㎜ 이상 비가 더 오고 남해안·경상동해안·제주(산지 제외)·지리산 부근·울릉도·독도에는 400㎜ 이상 비가 올 수 있겠다. 호우 시간대는 제주·남해안의 경우 6일 새벽까지, 중부지방은 5일 오후부터 6일 새벽까지, 남해안 외 남부지방과 강원영동은 5일 밤부터 6일 아침(동해안은 6일 오전)까지로 예상된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