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반환점 돈 국정감사…‘전현희 거취’ ‘유병호 문자’ 정쟁만

尹정부 대상 국회 국정감사 7일차

정무위서 전현희 거취 두고 공방

與 “위원장 논란 불편” 사퇴 압박

野 “유병호 정권 사냥개로 등장,

전현희 사퇴시키려는 표적감사”

과방위선 권성동 ‘막말 논란’ 재점화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문화진흥회·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 오후 질의가 대부분 의원들이 자리를 비운 채 진행되고 있다./권욱 기자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문화진흥회·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 오후 질의가 대부분 의원들이 자리를 비운 채 진행되고 있다./권욱 기자




여야가 13일 국정감사에서 전현희 권익위원장 거취와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의 ‘문자 논란’ 등을 두고 맞붙었다. 윤석열 정부를 대상으로 한 첫 국감이 반환점을 돌았지만 ‘정쟁 감사’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가 이날 국민권익위원회 등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감에서는 전 위원장의 거취를 둘러싼 설전이 오갔다. 여당은 권 위원장의 사퇴를 압박하고 나섰다.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은 “전 위원장은 정부가 바뀌고 그만둘 것처럼 말하고 고별인사도 했는데 왜 갑자기 입장을 바꿨냐”며 전 위원장의 거취 표명을 촉구했다.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도 “권익위원장 논란 때문에 여러 가지 불편하기도 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더불어민주당은 감사원의 권익위 감사를 ‘전현희 찍어내기’라며 전 위원장을 엄호했다. 황운하 민주당 의원은 “전 위원장을 사퇴시키기 위한 표적감사”라며 “유 사무총장이 새롭게 정권의 사냥개로 전면적으로 등장했다. 박정희 정권 때의 차지철을 연상시킨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강병원 민주당 의원은 최재해 감사원장의 ‘감사원은 대통령 국정 운영을 지원하는 기관’ 발언을 거론하며 “(전 위원장도) 최 원장처럼 법과 절차를 무시하고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본인이 맡은 기관을 정치보복으로 쓰면 안 되겠냐”고 했다. 이에 전 위원장은 “권익위는 대통령 국정철학에 코드를 맞추는 기관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의사진행발언 과정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해외 순방 당시 참전 용사를 만나 “제 할아버지도 여러분과 같은 6·25 전쟁 참전 군인”이라고 언급한 것을 두고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김성주 민주당 의원은 국가보훈처와 대통령실에서 참전 여부를 알려줄 수 없다고 했다며 “자랑스러운 일은 내세우기 마련인데 왜 지금까지 이런 사실을 숨겼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은 “기승전 김건희를 언급하고 싶은 모양”이라며 “(정치적) 의도가 다 있는 것”이라고 받아쳤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서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의 막말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국민의힘은 MBC의 윤 대통령 비속어 논란 최초 보도와 김 여사 대역 출연을 두고 ‘민주당 방송’이라며 박성제 MBC 사장의 자진 사퇴를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은 “초록이 동색이라고, 동종교배라고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자 민주당 소속 정청래 과방위원장은 권 의원의 ‘차라리 혀 깨물고 죽지’ 발언을 예로 들며 “권 의원도 며칠 전에 곤혹 치르셨지 않나. 자제해달라”고 했다. 권 의원도 지지 않고 “가르치려 들지 말고 사회 잘 보시라”고 맞받았다. 정 위원장이 “잘못하면 가르칠 수도 있죠. 혀 깨물고 죽으라는 게 잘됐습니까 그러면?”이라고 묻자 권 의원은 “잘된 발언입니다, 왜?”라고 소리쳤다.

국감이 절반을 지나 끝을 향해가고 있지만 정책 질의보다는 정쟁을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국회 내에서도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CBS)에서 국감에 대해 ‘과락’이라 평가하며 “서로 상대방 진영을 공격하고 물어뜯는 데 집중을 하다 보니까 본연의 취지에는 맞지 않다”고 했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