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더는 못 참겠다”… 관광업계 여의도에서 대규모 시위

‘총궐기 대회’서 손실보상 적용 등 지원대책 요구

친절 서비스 종사자 관광인들 시위는 이례적





관광업계가 9일 서울 여의도에서 대정부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각 분야 관광업계 종사자들이 한꺼번에 모여 시위를 벌이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최근의 업계 상황이 어렵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여의도 국회 의사당에서는 한국관광공사 등 관광관련 기관에 대한 국정감사가 벌어진 이날 오후 국회 밖에서는 전국에서 모인 관광인들이 연좌시위를 벌였다. 이어 각 정당 당사까지 행진 시위도 진행했다. 전국 광역시·도관광협회 주최로 열린 ‘관광산업 생태계 복원 전국 관광인 총궐기대회’에서다.

이날 시위에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관광협회, 업종별 협·단체 임직원 및 관광인 1000여명이 침석했다. 대회는 이날 성명서에서 “‘매출 제로’ 상태로 지난 3년을 견뎌 온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생태계는 폐허 그 자체”라며 “지금 이 순간 전국 4만여 관광업체와 200만 종사자 대부분이 생업절벽, 생계절벽, 생존절벽에 다다랐다”고 호소했다.

이어 “지난 3년간 국민의 안전과 정부의 방역지침에 적극 협조한 결과는 이토록 참담하고, 회복 여력조차 완전히 상실하고 말았다”고 성토하며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민간을 대표하는 전국 광역시·도관광협회 및 업종별 전국 협·단체는 전국 4만여 회원사, 200만 종사자의 이름으로 궐기했다”고 주장했다.

관광업계는 관광 분야에도 손실보상법을 적용하는 등 코로나 대책이 윤석열 대통령의 선거 공약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고 분노를 터뜨려 왔다.




이와 관련 대회 성명서는 △손실보상법 상 관광업종 추가와 신속한 보상 △관광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부 지원대책 즉시 이행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 구성 △특별고용유지업종 지정과 고용유지지원금 지원기간 연장 △무비자 확대, 비자발급 절차 간소화 등 비자정책 개선 △관광산업의 산업적 지위 보장과 조속한 산업표준안 확립 △ 관광산업 위기관리 및 재건을 위한 특별펀드 조성 △관광인력 재확보 및 인력대란 해소 △ 관광산업 해당 업종 재해·재난 보상보험 신설 등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한 참가자는 “관광업은 고객 응대 서비스업 특성상 친절을 앞세우기 때문에 집단행동을 자제했는데 오늘 이만큼 모인 것은 그만큼 절박하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한편 ‘총궐기 대회’를 앞두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날 오전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고 “범정부 차원의 정책 역량을 결집해 관광산업 회복과 재도약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11월 1일부터는 일본과 대만 등 8개국에 대한 무사증 입국을 재개하는 등 비자·출입국 제도 개선(현재는 10월 말까지 무비자 연장 중), 관광업계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기간 연장, 외국인 근로자 취업비자 확대 등 국내 관광 업계가 요구하는 사항에 대해 관계부처와 적극적으로 협의해나가겠다고 문체부는 말했다. 또 국내외 여행수요를 높이기 위해 한국문화(K컬처) 연계 마케팅, 국내 여행수요 촉진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현재 올해 안에 발표할 계획으로 ‘관광진흥기본계획’(2023~2027)을 준비 중에 있다”며 “ 이번 궐기대회에서 요구한 관광생태계 회복방안도 충실히 검토, 반영해 관광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큰 그림으로서 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글·사진=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