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부동산 불황 모르는 펜트하우스, 아크로포레스트 130억에 팔렸다

2017년 분양가보다 2배 뛰어

도곡 타워팰리스선 신고가 경신

"부유층, 경기 상대적으로 덜 타"

서울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사진제공=DL이앤씨서울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사진제공=DL이앤씨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인 ‘아크로서울포레스트’ 복층이 130억 원에 중개거래됐다. 2017년 분양 이후 첫 실거래로 분양 당시보다 2배 높은 가격이다. 주택시장이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하이엔드 아파트에 대한 부유층의 수요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 모양새다.



23일 국교통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264㎡(47층)는 지난달 30일 130억 원에 계약서를 썼다. 복층 구조로 이뤄진 해당 평형은 단지 내에 4개밖에 없는 구조로 이번이 첫 실거래다. 당초 분양가는 60억 5000만원으로 5년 동안 100% 이상 오른 셈이다. 해당 단지는 ‘2022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명품 주거의 표본”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건축물 주택부문 우수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2415A25 서울 펜트하우스 실거래 사례2415A25 서울 펜트하우스 실거래 사례



서울 아파트값은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펜트하우스들은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3차' 전용 235㎡는 올해 8월 64억원(64층)에 손바뀜되며 직전 최고가였던 올해 3월 55억 4000만원(63층) 기록을 갈아치웠다. 해당 단지에 펜트하우스는 6가구에 불과하다. 강남구 청담동 ‘더펜트하우스청담(PH129)’ 역시 지난해 11월 전용 273.96㎡(10층)이 92억 9070만원에 거래된 이후 올해 4월 같은 평형이 145억원(16층)에 거래돼 최고가를 경신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하이엔드 아파트 수요자의 경우 일반 주택 수요자와 다른 만큼 상대적으로 경기 영향을 덜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택가격이 높은 만큼 매수 시 대출 규제와도 무관할 뿐만 아니라 매물 자체가 적어 희소가치가 높다는 평이다.

박원갑 KB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하이엔드 주택의 경우 부유층이 주 소비자다 보니 상대적으로 경기를 덜 탄다”면서도 “간혹 보이는 매매가 급등은 거래가 없어 생기는 착시 현상으로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되면 하이엔드 주택도 결국 하락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PH129의 경우 273.96㎡ 12층과 16층이 직전 신고가인 145억 원에 매물로 나와있지만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