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OECD "ECB, 내년 중반까지 금리 1.5→4.25%로 올려야"

"물가 너무 높아 소비자 구매력 하락"

"美와 금리차 커 유로 약세·수입물가 상승"

"美 최종금리 5.25% 전망…내년 전세계 침체 없을 것"

연합뉴스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유럽중앙은행(ECB)가 현재 1.5%인 기준금리를 내년 중반까지 4~4.25%로 급격하게 올려야 한다고 경고했다. 물가가 너무 높아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갉아먹고 있으므로 금리를 빠르게 올려 물가를 낮추는데 집중해야 한다는 충고다.



22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OECD의 알바로 페레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많은 나라들에서 실질 임금이 떨어져 구매력에 타격을 주고 있다"며 "만약 물가가 잡히지 않는다면 이 같은 문제들은 악화할 것이다. 인플레와의 싸움이 우리 정책의 최우선순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물가가 너무 빠르게 올라 근로자의 실제적인 임금이 사실상 줄어들고 있고, 이 같은 현상이 장기화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일단 물가부터 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유로존의 10월 물가상승률(전년 대비)은 10.6%로 미국(7.7%)보다 크게 높다.

관련기사



페레이라는 "물가는 고공행진할 것이고 ECB는 더 강력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세부적으로 현재 1.5%인 기준금리를 내년 중반까지 4~4.25%까지 올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는 시장에서 보는 ECB의 최종금리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BNP파리바는 최근 ECB가 금리를 최종적으로 3%까지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내년 유로존의 평균 물가상승률을 6.8%로 봤다. 지난 9월 예상치인 6.2%에서 올려잡았다. 반면 미국의 내년 물가 상승률은 3.5%로 전망했으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에 금리를 5.25%까지 올릴 것으로 봤다. 현재 미국의 금리는 4~4.25%로, 이는 시장 예상과 부합하는 수치다.

페레이라는 "유럽은 유로화 가치를 방어하고 수입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고 역설했다. 미국에 비해 크게 낮은 금리는 결국 유로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수입물가를 끌어올려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게 되므로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날 OECD는 전세계 중앙은행들의 대대적인 금리 인상에도 내년 전세계가 경기침체는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팬데믹 기간 중 정부가 푼 돈으로 가계가 많은 돈을 저축해놨고 지금도 각국 정부가 에너지 비용 상승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가계와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OECD는 독일과 영국은 내년 역성장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경제는 내년에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