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현대차 “IRA 피해 커지면 조지아공장 경제성 재검토”

로버트 후드 현대차 부사장 밝혀

판매실적 하락 땐 운영 자체 차질

"공정경쟁 기회 줘야" 3년유예 건의





현대자동차 고위 관계자가 한국산 전기차를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회사가 입는 피해가 커지면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 투자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로버트 후드(사진) 현대차 정부 업무 담당 부사장은 15일(현지 시간) 우드로윌슨센터가 주최한 웨비나에서 ‘IRA 때문에 현대차가 조지아주 전기차공장 투자를 취소하거나 축소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앞으로 계속 주시해야 할 결정”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미국 내 전기차 판매와 시장점유율을 지금부터 꾸준히 늘려야 공장이 완공됐을 때 가동률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판매가 증가하기 시작하지 않으면 공장이 경제적으로 타당한지 진지하게 질문할 수밖에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공장을 유치한 조지아주에서 인센티브를 받기는커녕 고용 및 생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페널티를 물게 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현대차의 전기차 판매 실적이 하락할 경우 조지아주 공장 초기 운영 자체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뜻이다.



후드 부사장은 “IRA로 우리 성장에 계속 피해를 보게 된다면 우리가 어디로 갈지 진지하게 평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분명 멕시코는 인건비와 생산비 등 모든 것이 훨씬 저렴하다. 회사가 그 가능성을 다시 검토하기로 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다만 그는 미국 시장이 매우 중요하고 기아 조지아공장과 현대차 앨라배마공장이 워낙 성공적이었다면서 현대차는 미국을 떠나고 싶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 행정부 및 의회 관계자들과 두루 접촉한 사실을 언급하며 “우리의 요청은 미국이 원했던 투자를 한다는 이유로 벌하지 말아 달라는 것”이라고 전했다. IRA의 새 규정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향후 몇 년간 공정하게 경쟁할 기회를 달라”고도 요청했다.

한국 정부와 현대차는 조지아 전기차 공장이 완공되는 2025년까지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미뤄달라는 의견을 미국 정부에 전달한 상태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