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질주하는 은행주…배당 확대로 '만년 저평가' 벗어나나

주주환원 확대 가능성 크고

부동산 대출 규제도 확 풀려

KB·하나금융 등 두자릿수 ↑

KRX 은행지수도 13% 올라

건전성 규제강화 여부가 변수





‘만년 저평가주’인 은행주들이 연초부터 요동치고 있다. 기준금리 3% 시대를 맞아 주요 은행들의 실적개선이 기대되는 한편 부동산 규제 완화, 주주환원 확대 조짐 등의 호재가 동시 다발적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금융지주 리레이팅(재평가)의 핵심인 배당확대 정책이 이번이야말로 현실화되면서 만년 저평가를 벗어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초 달아오른 금융주13% 껑충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은행 지수는 새해 첫주(2~6일) 13.1% 급등했다. 종목별로는 KB금융(105560)(16.9%)의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하나금융지주(086790)(16%), 신한지주(055550)(15.3%)가 뒤를 이었다.

호재가 잇따랐다. 금리 고공행진으로 인핸 수익성 개선 전망이 주된 요인이다. 서울 강남3구 용산을 제외하고 ‘부동산 규제 대못’이 대부분 풀린 점도 호재다. 은행의 곳간이 두둑한 가운데 배당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부푸는 것은 주가를 달구는 요인이다. 지난해 에스엠 지배구조 개선을 이끌어 낸 얼라인파트너스가 이번에 금융지주를 타깃으로 삼아 주주환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국내 은행들의 최근 4개 분기 자기자본수익률(ROE)이 평균 9.9%로 해외 은행 평균(10.5%)과 비슷하고 대표적인 자본 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CET1비율)도 평균 11.9%로 규제 수준인 10.5%를 크게 웃돈다고 진단했다. 특히 은행들이 매년 10% 가까이 늘려온 대출 등 위험가중자산(RWA) 성장률을 GDP 성장률 수준(2~5%)으로 줄이고, 현재 25%대인 주주환원율(배당, 자사주 매입·소각)을 최소 50%로 높이면, “자본 적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금융지주 주가를 두 배 이상 끌어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때마침 신한지주가 2일 경영포럼에서 자본비율 12% 초과분에 해당하는 자본 여력을 주주환원에 사용할 것이라고 밝힌 것도 호재다. 외국인들이 은행주를 매입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이유로 보인다. KB금융은 8거래일째, 신한지주는 6거래일째 매수가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국제 꼴찌 PBR상승여력 있지만 당국의 배당 허용이 관건”= 은행주들이 추세적으로 상승할지, 현 수준에서 멈출지 투자자들 사이에서 관심이 높다.

추가 상승을 점치는 쪽에서는 “그래도 싸다”는 근거를 댄다. 6일 기준 KRX은행지수의 PBR은 0.44배다. KB금융이 0.46배로 가장 높았고 신한지주(0.44배), 하나금융지주(0.39배) 순이다. 이같은 밸류에이션은 국제적으로 최하위권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JP모간(1.5배)이나 BoA(1.1배)의 절반 수준이다. 국내 은행주의 PBR은 2011년부터 점점 악화하고 있다. 2010년 말 1.8배에서 2019년 말 0.41을 기록했고 이후 꾸준히 내림세다. 심지어 대만과 중국의 은행들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이에 더해 금융지주들이 주주환원을 확대할 여력도 있다. 이베스트투자증권(078020)에 따르면 △지난해 순이익 규모 올해도 유지△30%의 배당성향△4.5%의 위험가중자산 증가율△보통주자본비율 12% 초과분을 모두 주주환원 활용시 신한·KB·하나 3개사는 평균 약 1조7000억 원을 주주환원에 사용할 수 있다. 이를 30% 배당성향과 합산하면 총 주주환원율은 65%로 해외은행과 유사하게 증가한다. 대신증권(003540)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신한지주의 보통주 자본비율(CET1)비율은 12.7%로 0.7%에 해당하는 자본여력을 배당에 사용하면 총 배당금은 2조 6000억 원에 이른다. 이는 주주환원율(‘배당총액+자사주 매입액’/당기순이익)로 환산하면 50%에 이른다.

그러나 현 수준의 주가가 부담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경기 상황을 예측하기 쉽지 않은 데다 국제 자본규제인 바젤3 최종 단계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바젤3 최종단계가 적용되면 위험가중치가 세분화돼 건전성 규제가 더 엄격해 배당 여력이 줄 수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해 말 “주주환원정책애 대한 의사결정은 경영진 몫”이라면서도 “어려움이 있을 때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배당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금융당국이 은행 배당의 자율성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으나 경기침체 환경에서 대손부담 상승이 예상되는 현 국면에서 어느 정도 수준의 자율성을 부여할 것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봤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