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해도 '눈치작전'…SKY 정시, 55%가 마감 직전 접수

통합수능·교차지원 불안 영향

자연계보다 인문계열 더 심해

학부모들이 지난달 11일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종로학원 주최로 열린 '2023 정시 합격전략 설명회'에서 입시 전문가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학부모들이 지난달 11일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종로학원 주최로 열린 '2023 정시 합격전략 설명회'에서 입시 전문가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서울 주요 대학 정시모집에서도 마감 직전 절반이 넘는 수험생이 몰리는 등 '눈치작전'이 치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정시 모집에서 인문·자연계열을 합친 전체 지원자(1만413명)의 54.7%인 7667명이 접수 마감 직전 3시간 동안 원서를 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은 정시 원서 마감 3시간 전에 마지막으로 경쟁률을 공개하는데 절반이 넘는 수험생이 이를 확인하고 막판에 원서를 접수했다.

관련기사



특히 인문계열에서 막판 눈치작전이 더 치열했다. 인문계열 학과는 전체 지원자(6603명)의 56.6%(3740명), 자연계열 학과는 전체 지원자(7410명) 중 53.0%(3927명)가 지원했다. 2년차를 맞은 통합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향이 미쳤다는 분석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인문계열에서 상대적으로 눈치작전이 치열했던 이유는 올해 통합수능에서 문이과 간 수학점수에서 밀린다는 불안감, 교차지원으로 인한 불안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자연계열도 교차지원 유불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신중하게 접근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학별로 보면 서울대는 3시간 동안 인문 52.5%, 자연 51.3%, 연세대는 인문 63.5%, 자연 61.4%, 고려대는 인문 51.5%, 자연 47.7%가 지원했다. 학과별로는 인문계의 경우 연세대 아동가족학과(93.8%), 자연계는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88.3%)가 마감 직전 가장 많은 수험생들이 몰렸다.

정시 합격자 발표일은 중앙대 13일, 고려대 27일, 서울대는 2월 3일, 연세대 2월 6일이다. 성균관대는 예정보다 한 달 앞당긴 지난 6일 정시 합격자를 발표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