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MZ도 반했다…골목시장 변신한 봉리단길·말죽거리

골목형 상점가 2020년 5개→2021년 70개 급증

올초 100개 육박…감소 추이 전통시장과 대조적

송파 먹자골목, 관악 봉리단길, 서초 말죽거리 등

일평균 매출 높고 젊은이 찾아 빈점포 찾기 어려워

전통시장·골목상권 같이 살릴 근본처방 필요 지적도





대형 마트·쇼핑몰과의 경쟁에서 밀린 전통시장이 쪼그라드는 반면 도시 곳곳에 골목 시장들이 속속 자리를 잡고 있다. 지자체 간 골목시장 조성 경쟁이 벌어지면서 전통 시장을 외면했던 소비자들이 골목시장을 찾고 있다. 골목 상권 부흥은 긍정적이지만 자칫 전통시장 소외가 심각해질 수 있는 만큼 차별화된 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와 상인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이달 공개한 점포경영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5개에 불과했던 골목형 상점가는 2021년 70개로 14배 급증했다. 시장이 가장 많은 서울시 숫자가 2021년말 19개에서 이날 기준 38개로 2배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현재 전국의 골목형 상점가는 100개 내외로 추정된다. 골목형 상점가가 확산되자 소진공은 이번에 처음으로 기존 상점가에서 골목형 상점가를 분리해 별도 보고서로 펴냈다.



골목형 상점가는 2000㎡ 이내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 밀집해 있는 구역으로 과거와 비교해 체계화된 골목시장 형태를 띤다. 지자체와 소상공인 의견을 수렴해 정부가 2020년 8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제도가 신설됐고, 상인조직 결성 등 조건을 충족하면 소속 지자체가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할 수 있다.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되면 전통시장처럼 시설현대화 등 정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온누리 상품권 사용도 가능하다.

관련기사



규모가 큰 전통시장과 상점가에만 정부 지원이 쏠려 소상공인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골목형 상점가가 도입됐다. 기존에는 영업점포의 도·소매업 비중이 50% 이상인 요건을 충족하는 상점가에 대해서만 정부 지원이 이뤄지면서 정부 예산 수조원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천 서구 골목형 상점가 /사진 제공=인천 서구인천 서구 골목형 상점가 /사진 제공=인천 서구


골목형 상점가는 지역 특색을 살리는 동시에 체계적인 상권을 구축하면서 소비자는 물론 상인들의 호응을 이끌고 있다. 서울에서는 송파 먹자골목, 관악 봉리단길(봉천동 일대), 서초 말죽거리 등이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된 대표 사례들이다. 봉리단길(봉천동 경리단길)과 샤로수길(서울대입구 가로수길)은 젊은이들이 즐겨찾는 대표 상권으로 이제는 지자체와 정부가 인정한 시장으로 급성장했다.

매출, 점포 수 등 다방면에서 골목형 상점가는 전통시장과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 정부의 코로나19 지원금 등으로 전통시장 숫자가 2020년 1401개에서 2021년 1408개로 소폭 늘기는 했지만 빈점포 비율이 같은 기간 8.6%에서 9.4%로 증가하는 등 내실은 악화됐다. 반면 골목형 상점가의 빈점포 비율은 5.4%에서 3.6%로 줄었다. 상인 수 역시 전통시장은 32만5492명에서 32만4779명으로 줄어든 반면 골목형 상점가는 2908명에서 1만594명으로 늘었다. 2021년 기준 일평균 매출액에서도 전통시장은 44만6000원인 반면 골목형 상점가는 60만3000원으로 차이가 컸다.

다만 소상공인 지원 예산이 골목 상권에 집중되면 기존 전통시장으로 돌아갈 지원금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시장 전체를 살리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대형 쇼핑몰과 차별화 된 특색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시의 경우 스페인 세비아의 '엔카르나시온',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마크트할'을 벤치마킹해 전통시장을 현대건축물로 변신시키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골목형 상점가가 늘어나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기존 예산을 빼서 골목 상권에 나눠주는 식이라면 전통시장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온라인 쇼핑몰이 소비자에게 주지 못하는 소비자 욕구를 채워줄 수 있도록 터키나 체코 전통시장처럼 체험적이고 문화적인 요소가 가미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