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행정부의 ‘메이드 인 아메리카’ 정책에 힘입어 지난해 미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 규모가 중국을 압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전기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미국 투자 확대가 이뤄지는 가운데 한국의 대미 투자 역시 크게 늘고 있다.
10일(현지 시간) KOTRA 워싱턴무역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FDI 유치액 1조 2810억 달러 중 미국의 비중은 24.9%로 중국(14.1%)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무역관은 “2010년부터 중국의 FDI 유치액이 미국을 추월했으나 코로나19 이후 2021년부터는 미국이 중국·유럽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지난해 유럽연합(EU)의 FDI 유치액은 -1477억 달러를 기록해 순유출이 나타났다.
2021년 기준으로 대미 FDI가 가장 많은 국가는 일본으로 전체의 13.9%를 차지했으며 네덜란드(12.6%), 캐나다(10.6%), 영국(10.3%), 독일(8.1%)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비중은 1.5%였다.
무역관은 “팬데믹 동안 위축됐던 대미 FDI 투자가 한국·네덜란드·영국·아일랜드 등으로부터의 투자 급증으로 가파르게 회복됐다”면서 “2021년 한국으로부터의 FDI는 전년에 비해 1089%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대미 FDI를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42.4%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금융(12.5%), 도매(9.7%), 정보(5.6%) 등의 순이었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반도체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천문학적인 보조금 정책을 편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반면 2016년 이후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중국의 대미 투자는 급락했다. 2016년 535억 달러(63건)에 달했던 중국의 대미 투자는 지난해 32억 달러(5건)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