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루닛, 유방암 특화 AI 기업 '볼파라' 인수한다

지분 100%, 2525억 원에 인수 계약

내년 하반기 무렵 인수 절차 완료될듯

볼파라, 1억장 유방 촬영 이미지 보유

AI 진단 고도화…미국 시장 진출 속도

루닛과 볼파라 CI. 사진 제공=루닛루닛과 볼파라 CI. 사진 제공=루닛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328130)이 미국 내 2000곳 이상 의료기관에 AI 솔루션을 공급하는 ‘볼파라 헬스 테크놀로지’를 약 2525억 원에 인수한다. 해외 의료 AI 기업 인수는 창립 이래 최초다. 양질의 데이터를 대거 확보하는 동시에 세계 최대 의료 시장인 미국 내 자체 AI 솔루션 판매망을 확보하게 됐다.



루닛은 14일 이사회를 열고 볼파라 지분 100%를 2525억 원에 인수하기로 의결했다. 루닛은 이번 볼파라 인수를 위해 인수 자금을 외부 차입 등을 통해 충당한다. 이번 계약에 따라 볼파라는 내년 2분기 이내에 주주총회를 열고 주주 75% 동의를 얻어 최종 절차를 마무리한다. 합병 완료까지는 약 3~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수가 완료되면 루닛은 볼파라를 호주 시장에서 상장 폐지할 예정이다.

볼파라는 2009년 뉴질랜드 웰링턴에 설립된 유방암 검진 특화 AI 플랫폼 기업이다. 미국 시애틀에 사무소를 두고 미국 내 임상 및 영업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6년 4월 호주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유방암 조기 진단을 위한 AI 플랫폼을 미국 시장에 집중 공급하며 매년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미국 전체 유방촬영술 검진기관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2000곳 이상 의료기관에서 볼파라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내 시장 점유율 42%를 차지하고 있다.



볼파라의 지난해 매출은 약 210억 원이다. 올해 매출은 약 282억 원으로 예상되는데 5년 간 연평균 63%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전체 매출의 96.5%가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구독 형태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연구개발(R&D) 투자로 영업 손실을 보고 있는데 루닛 측은 인수 후 흑자 전환 시기를 앞당기는데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볼파라는 미국 등 서양권 여성 약 1억장의 유방촬영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는 제품 개발을 위해 고객 동의를 얻는 등 법적분쟁 가능성을 모두 해소한 데이터다. 루닛은 볼파라 데이터를 활용해 ‘루닛 인사이트 MMG’와 ‘루닛 인사이트 DBT’ 제품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볼파라의 데이터를 초거대 AI에 적용시켜 완벽에 가까운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자율형 AI 구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는 미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루닛은 볼파라가 미국 내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내 볼파라 플랫폼 설치 기관을 대상으로 루닛 AI 솔루션을 추가 공급할 기회를 얻게 됐다. 또한 루닛은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볼파라 AI 플랫폼을 유통함으로써 매출을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루닛의 볼파라 인수는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앞으로 루닛이 암 조기 진단을 위한 강력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 대표는 “이번 인수 계약은 양사가 암 검진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테리 토마스 볼파라 대표는 “볼파라 이사회는 이번 인수 계약이 주주들에게 최선의 이익이 된다는 견해에 동의해 이번 인수 제안을 받아들였다”며 “이번 인수 계약은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사업적 리스크를 완화시키는 한편 다른 어떤 회사도 따라할 수 없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라고 전했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